중후장대, 3분기도 실적 희비 지속...석화·배터리 '부진 늪' VS 조선·전력 '기록 갱신'

  • 석화·배터리, 중국발 공급과잉·캐즘에 적자 지속

  • 초호황기 K-조선·전력기기, 분기 최고 실적 기대

충청남도에 위치한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
충청남도에 위치한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 [사진=연합뉴스]
중후장대 산업의 업종별 실적 희비가 3분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석유화학과 배터리가 부진의 늪에 빠져 있는 가운데 슈퍼 사이클을 탄 조선·전력기기 분야는 최대 실적 갱신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석화 톱4로 꼽히는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금호석유화학 가운데 3분기 실적 증가가 예상되는 곳은 금호석유화학뿐이다. 

금호석화는 국내 석화 기업 중 유일하게 나프타분해시설(NCC)을 보유하지 않아 원가 구조를 안정적으로 관리 중이다. 의료·전자 등 고기능성 화학소재 중심 포트폴리오로 중국발 공급 과잉에도 대응 가능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컨센서스를 보면 금호석화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7% 증가한 893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배터리 업계도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성공한 LG에너지솔루션을 제외하고는 모두 적자가 예상된다. LG엔솔의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은 매출 5조6999억원, 영업이익 6013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34.1% 급증해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반면 ESS 사업 비중이 낮은 삼성SDI와 SK온은 1000억~3000억원대 영업손실이 예상된다.

조선 업계는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실적 상승세가 기대된다. 고부가 선박 중심의 수주 전략이 수익 안정화로 이어지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액 7조1162억원, 영업이익은 94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94%, 136.96% 증가한 수치다.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의 영업이익도 2155억원, 351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79.75%, 1273.67%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전력기기 업체도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급증과 북미 노후 전력망 교체 등 호재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두 자릿수 성장률이 예고된 상태다. 효성중공업은 3분기 영업이익 1545억원, HD현대일렉트릭은 23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8.7%, 46.1%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LS일렉트릭과 일진전기도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뛸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수년 새 중후장대 내에서 성장 산업과 침체 산업이 명확히 갈리고 있다"며 "단기 실적보다 중장기적 기술 확보와 원가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 기업이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 승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