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보다 경험"…미취업 청년 10명 중 8명 '직무 경험' 애로

  • 응답자의 74.6% 지원자 평가 항목 '직무경험'

취업 준비 과정에서 느끼는 가장 큰 애로사항에 응답자의 807가  직무 경험을 꼽았다사진경총
취업 준비 과정에서 느끼는 가장 큰 애로사항에 응답자의 80.7%가 직무 경험을 꼽았다.[사진=경총]
취업 문턱을 높이는 요인은 '스펙'이 아니라 '경험'이었다. 미취업 청년 10명 중 8명이 취업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직무 경험'을 꼽았다.

16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미취업 청년 1000명(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실태조사'를 통해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7%가 취업 준비 과정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업무 경험 및 경력개발 기회 부족'을 꼽았다. 일자리 정보 부족(45.3%)과 직무 관련 자격증 취득 어려움(30.8%), 학점·외국어 점수 취득 어려움(19.6%)도 주요 애로 사항으로 집계됐다.

미취업 청년들은 채용 과정에서 직무와 관련한 경험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지원자들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74.6%가 '직무 관련 일 경험'이라고 답했다.

이는 직무와 관련한 일 경험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있으면서도, 실제 취업 준비 과정에서 업무를 경험하거나 경력 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한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미취업 청년들은 취업할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에는 '임금수준(51.5%)'을 꼽았다. 워라밸 등 근무환경(47.4%)과 직무 적합성(39.6%)도 주요 평가 항목으로 지목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워라밸, 회사 규모·소재지, 고용 안정성을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지원 제도나 활용 도구는 '인턴 또는 일경험 프로그램(42.8%)'이라고 답했다.

그 외 '취업 관련 지원금 또는 장학 제도' 20.7% , '취업포탈·온라인 플랫폼 등의 취업 관련 정보' 20%, '취업지원기관의 상담, 취업알선 등 서비스' 1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교 재학 중인 미취업 청년들에게서 '인턴 또는 일경험'을 선택한 비율(54.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로 인턴 또는 일경험이 가장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대학교 재학 54.1%, 대학교 졸업 이상 39.1%, 고등학교 졸업 이하 28.6%로 나왔다.

법정 정년이 연장될 경우 신규채용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0.8%가 '신규채용 규모 감소'를 예상했다. 특히 채용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 유형은 '대기업'(35.6%)과 '공공기관'(33.9%)이 많았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수시·경력직 중심의 채용 트렌드 하에서 미취업 청년들이 업무 관련 일경험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있지만, 관련 기회나 정보가 부족한 상황"며 "기업이 사회공헌 차원에서 청년의 일경험과 직무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도록 인센티브나 재정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