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현금서비스·카드론 등 금융소비자들이 카드사에서 돈을 빌린 뒤 갚지 못한 규모가 올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팍팍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과 함께 중장기적으로 카드사 건전성이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국내 카드대출 연체액은 1조483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1조3720억원) 대비 8% 불어난 규모다. 같은 기간 전체 카드대출 규모가 44조6650억원에서 44조7850억원으로 0.3%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연체 규모가 급증한 셈이다. 이 기간 연체율도 3.1%에서 3.3%로 0.2%포인트 상승했다.
국내 카드대출 연체 규모는 △2021년 말 7180억원 △2022년 말 8600억원 △2023년 말 9830억원 △지난해 말 1조940억원 등 최근 수년간 우상향 곡선을 그려왔다. 금융사들이 통상 연말을 앞두고 상·매각 등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올해 말 카드대출 연체 규모는 약 1조181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드업계 안팎에서는 이와 같은 연체율 상승이 최근 경기 둔화에 따른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더해 최근 수년간 카드업계가 가맹점 수수료를 낮추면서 카드대출 영업을 확대한 것도 연체규모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카드대출 연체율 상승이 우리 경제에 좋지 않은 신호를 주고 있다는 점이다. 비교적 금리가 높은 카드대출이 늘어나는 것도 경계해야 하는 상황에서 연체율까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차주들이 상환능력을 상실했다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카드대출 연체가 부실채권(NPL)으로 이어지고, 카드사들이 채권을 회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다 보면 카드사 건전성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악의 경우 2000년대 초반에 발생한 ‘카드대란’이 재연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김용진 서강대 교수는 “다른 곳에서 자금을 융통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카드대출로 버티다가 이마저도 갚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고도 볼 수 있다”며 “카드사들이 단기적으로는 실적이 개선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회수하지 못하고 부실채권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카드업계도 최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 기조와 발맞추고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카드대출을 보수적으로 내주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와 관련해 카드업계에서는 연말에는 연체액·연체율 증가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그간 가맹점 수수료율이 계속 낮아지면서 카드사들이 수익 보전을 위해 카드대출 공급을 늘렸다”면서도 “최근 경기 악화로 인한 연체율 상승, 가계대출 관련 정부 규제 등의 영향으로 카드사들이 카드대출 영업을 다소 보수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국내 카드대출 연체액은 1조483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1조3720억원) 대비 8% 불어난 규모다. 같은 기간 전체 카드대출 규모가 44조6650억원에서 44조7850억원으로 0.3%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연체 규모가 급증한 셈이다. 이 기간 연체율도 3.1%에서 3.3%로 0.2%포인트 상승했다.
국내 카드대출 연체 규모는 △2021년 말 7180억원 △2022년 말 8600억원 △2023년 말 9830억원 △지난해 말 1조940억원 등 최근 수년간 우상향 곡선을 그려왔다. 금융사들이 통상 연말을 앞두고 상·매각 등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올해 말 카드대출 연체 규모는 약 1조181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드업계 안팎에서는 이와 같은 연체율 상승이 최근 경기 둔화에 따른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더해 최근 수년간 카드업계가 가맹점 수수료를 낮추면서 카드대출 영업을 확대한 것도 연체규모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카드대출 연체가 부실채권(NPL)으로 이어지고, 카드사들이 채권을 회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다 보면 카드사 건전성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악의 경우 2000년대 초반에 발생한 ‘카드대란’이 재연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김용진 서강대 교수는 “다른 곳에서 자금을 융통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카드대출로 버티다가 이마저도 갚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고도 볼 수 있다”며 “카드사들이 단기적으로는 실적이 개선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회수하지 못하고 부실채권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카드업계도 최근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 기조와 발맞추고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카드대출을 보수적으로 내주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와 관련해 카드업계에서는 연말에는 연체액·연체율 증가세가 꺾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그간 가맹점 수수료율이 계속 낮아지면서 카드사들이 수익 보전을 위해 카드대출 공급을 늘렸다”면서도 “최근 경기 악화로 인한 연체율 상승, 가계대출 관련 정부 규제 등의 영향으로 카드사들이 카드대출 영업을 다소 보수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