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구매력 기준 1인당 GDP 대만보다 2만 달러↓"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느끼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대만보다 연간 2만 달러가량 낮다는 국제통화기금(IMF) 분석이 나왔다. 올해 명목 기준 1인당 GDP가 22년 만에 대만에 따라잡힐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구매력 기준 1인당 GDP는 이미 수년 전부터 대만에 뒤처졌다는 설명이다.

21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IMF는 지난 15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구매력 평가(PPP) 기준 1인당 GDP가 6만5080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6만2885달러)보다 약 3.5% 증가한 수치다.

IMF가 매년 두 차례 추산하는 PPP 기준 GDP는 각국의 생활 수준을 보다 현실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화폐의 실질 구매력을 반영한 지표다. 단순 환율이나 명목 수치가 아닌, 동일한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실제 구매력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물가가 낮은 국가는 해당 수치가 더 높게 나타난다.

한국의 PPP 기준 1인당 GDP는 △1980년 2200달러 △1990년 7741달러 △2000년 1만7432달러 △2010년 3만2202달러 △2020년 4만7881달러로 꾸준히 상승해왔다. 올해 수치는 세계 35위 수준이다.

IMF는 같은 보고서에서 대만의 올해 PPP 기준 1인당 GDP가 8만5127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한국보다 2만47달러가량 높은 수준이다.

대만의 PPP 기준 1인당 GDP는 1980년 3214달러로 한국보다 약간 높았고, 이후 △1990년 9534달러 △2000년 2만463달러 △2010년 3만6619달러 △2020년 5만7996달러 등으로 격차를 유지하며 상승해왔다.

IMF가 예상한 올해 국제 순위에서도 대만은 12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11위인 미국(8만9599달러)에 바짝 붙은 수치다. 반면 한국은 35위로 대만보다 무려 23계단 뒤처져 있다.

대만 국민의 실제 생활 수준이 이처럼 높게 평가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주요 투자은행(IB) 8곳이 제시한 대만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9월 말 평균 1.7%에 그쳤다.

물가 상승률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5.3%)보다 현저히 낮은 것은 물론, 지난해 물가 상승률(2.18%)보다 크게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IB들이 제시한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평균 1.5%로, 통상의 물가 목표(2.0%)보다 0.5%p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근까지 2%대로 대만보다 높게 유지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 2024년 2.3% 등으로, 대만이 2021년 1.97%, 2022년 2.95%, 2023년 2.49%, 2024년 2.18%를 기록한 것보다 매년 높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