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통화스와프보다 투자 구조가 관건"

  • "베선트 재무 장관도 한국의 어려움 이해"

  • "투자 구조에 따라 통화스와프 필요없을 수도"

  • "협상 완료되면 환율도 안정될 것"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구조개혁장관회의를 주재 개회사를 하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구조개혁장관회의를 주재,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통화 스와프보다는 투자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23일 기재부에 따르면 구 부총리는 전날 공개된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 외환시장의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상황에 대응할지 논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베선트 장관을 비롯한 미국 정부는 3500억 달러를 선불로 투자해야 하면 한국 외환시장이 충격을 받을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이다.

구 부총리는 "한국은 직접투자·대출·보증이 혼합된 균형 잡힌 투자의 구성을 협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화스와프의 필요성도 대미투자 구조에 따라 좌우된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통화스와프가 필요할지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는 전적으로 어떻게 대미투자가 구성될지에 달렸다"며 "아예 필요 없을 수도 있고 소규모로 체결될 수도 있다”고 했다.

구 부총리는 한국산 자동차가 일본산(15%)보다 더 높은 25%의 관세를 부과받는 불리함을 적극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에게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자동차 관세 불균형 문제를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당국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며 "미국이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보긴 어렵지만 계속해서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1400원을 돌파한 원·달러 환율에 대해서는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 부총리는 "최근 원화 약세는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불확실성을 반영한다고 본다"며 "관세 문제가 해결되면 불확실성은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주간거래 기준 1429원 수준에서 마감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2029년 58%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치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반영한 것"이라며 "우리는 단순히 지출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변혁적 기술에 집중해 투자하고 있다. 일부만 성공하더라도 채무 비율은 낮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