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3일 기준금리를 2.50%로 동결한 가운데 신성환 금통위원이 금리 인하 소수 의견을 개진했다.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금통위원은 4명으로 지난 8월보다 1명 줄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통화정책방향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신성환 위원이 기준금리를 연 2.25%로 0.25%포인트 인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소수의견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신 위원은 올해 1·4·8·10월 금리 인하 소수 의견을 제시해왔다.
신 위원은 주택시장과 관련한 금융안정 상황이 우려되지만 국내총생산(GDP)갭률이 상당 폭 마이너스(-)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금리를 인하하고 경기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보며 향후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금융통화위원 6명 중 4명이 향후 3개월 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포워드 가이던스를 내놓았다. 나머지 2명은 향후 3개월 내 금리를 2.50%로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의 인하 대 동결 의견은 지난 7월 10일 4대2, 8월 28일 5대1, 10월 4대2로 변화했다.
이 총재는 "8월 대비 금융안정 리스크가 커지면서 위원 한명이 인하에서 동결로 이동했다"며 "금리 인하 기조가 계속되지만 인하 속도와 시기가 조정되고 있는 건 맞다"고 설명했다.
11월 금리 인하 가능성과 관련해선 "여러 변수가 있어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불확실성이 크다"며 "다음 주 APEC 회의를 전후해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이는 한·미 및 미·중 무역협상의 결과가 향후 성장 흐름을 가늠하는 데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통화정책방향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신성환 위원이 기준금리를 연 2.25%로 0.25%포인트 인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소수의견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신 위원은 올해 1·4·8·10월 금리 인하 소수 의견을 제시해왔다.
신 위원은 주택시장과 관련한 금융안정 상황이 우려되지만 국내총생산(GDP)갭률이 상당 폭 마이너스(-)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금리를 인하하고 경기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보며 향후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금융통화위원 6명 중 4명이 향후 3개월 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포워드 가이던스를 내놓았다. 나머지 2명은 향후 3개월 내 금리를 2.50%로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의 인하 대 동결 의견은 지난 7월 10일 4대2, 8월 28일 5대1, 10월 4대2로 변화했다.
11월 금리 인하 가능성과 관련해선 "여러 변수가 있어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불확실성이 크다"며 "다음 주 APEC 회의를 전후해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이는 한·미 및 미·중 무역협상의 결과가 향후 성장 흐름을 가늠하는 데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