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금리로 집값 부추기지 않겠다"…11월도 인하도 미지수

  • 10월 금통위 매파적…"내년 상반기 인하" 전망 나와

  • 3개월 내 금리 인하 포워드 가이던스 6→5명 축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사실상 내년 상반기로 넘어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금융통화위원회의 경계심이 종전보다 높아지면서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회의인 11월마저 추가 인하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통화정책으로 부동산가격을 부추기진 않겠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금방 꺾이진 않을 것"이라며 "한두 달 사이 부동산가격이 잡히지 않는다 해도 공급 정책이나 수도권 유입인구 조절 등 모든 부동산 정책이 일관되게 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발표된 10·15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 집값이 단기간에 안정되기 어렵다는 것으로 해석되면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급격히 식었다. 11월 통화정책방향회의까지 5주밖에 남지 않은 만큼 집값의 추세적 안정을 확인하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란 해석이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한은 총재가 부동산 가격이 쉽게 안정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언급한 가운데 11월 금통위 회의(11월 27일)와의 간격이 짧다는 점에서 11월 동결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매파적(통화 긴축 신호)으로 변한 조건부 포워드 가이던스도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 '3개월 이내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금통위원은 6명 중 4명이다. 직전 금통위에선 조건부 포워드가이던스로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위원이 5명이었지만, 두 달 새 1명이 동결로 돌아섰다.

이 총재는 "3개월 뒤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금통위원이 5명에서 4명으로 변한 것 자체가 금융안정에 포커스를 뒀다는 의미"라며 "인하 기조는 계속되지만 시기와 속도가 조정됐다고 보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융안정에 좀더 초점을 둔 정책 시선 변화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한은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근거 삼아 금리 인하를 서두를 상황이 아니라는 분석도 나왔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경기 하방 위험을 자극할 수 있는 한·미 관세협상 문제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 때까지 난항을 겪으면 11월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지만 그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봤다.

다만 일각에선 여전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하회하며 저성장을 이어가는 만큼 경기 부양을 위한 11월 금리 인하를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신성환 금통위원의 금리 인하 소수 의견이 이를 뒷받침한다. 신 위원은 "GDP갭(실질GDP-잠재GDP)이 상당 폭 마이너스를 지속하는 상황에서 가급적 빠른 시점에 금리를 내리고 경기 반등 효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1월 인하 가능성과 관련해 "한·미 관세협상뿐 아니라 미·중 관세협상도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여기에 반도체 사이클까지 여러 변수가 있어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향후 금리결정은 경제상황과 금융안정 모두 우선순위 없이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