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가스전 英 BP 우선협상 장기 보류되나...정부 제동 가능성 시사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오일 메이저사인 영국 BP사가 동해 심해 가스전 공동 개발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부가 그간의 추진 과정에 강한 불만을 표출하며 사업 전반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26일 관계 부처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부 관계자는 "입찰 참여자와의 협의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업 추진 여부를 포함한 향후 사업 방향을 검토해 나가겠다"며 "투자 규모와 계획 등을 살펴 충분한 투자 유치가 이뤄지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해외 투자 유치를 통해 석유공사가 추진 중인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을 다시 점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석유공사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효력을 부인하는 취지의 공개 발언을 한 이후 나왔다. 

김 장관은 지난 2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특정 외국 업체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이미 정해진 것이냐"는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간부들에게 산업부는 바보 같다, 도대체 어떻게 일을 하길래 피감 기관에서 산업부에 이렇게 할 수 있느냐고 엄중하게 얘기를 했다"면서 우선협상대상자로 BP가 선정됐다는 소식이 공식 발표 형식이 아닌 언론 보도를 통해 먼저 알려진 과정에도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석유공사는 동해 심해 가스전 2차 탐사시추를 위해 올해 3월부터 4개 심해 광구를 대상으로 가스전 개발 사업을 추진할 해외 사업파트너를 모집하는 국제 입찰 절차를 밟아왔다. 지난달 19일 마감한 입찰 결과 BP와 국영에너지기업 등이 1개 광구에 복수로 참여함에 따라 유찰되지 않았고 최종적으로 BP가 우선협상대상자가 됐다. 사업 참여 업체는 최대 49%까지 지분 투자를 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첫 탐사 시추가 '불발'로 끝나며 사업 동력이 다소 약화되는 듯했지만 BP의 사업 참여 의사 표명으로 재도약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다. 그러나 정부가 감사원의 감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명분으로 투자 유치 절차를 잠정 중단할 경우 사업이 장기 보류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