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평화적 두 국가론', 통일부 입장…확장 절차 진행"

  • "'정부안으로 확정될 것'이라는 발언 정정…정부 논의중"

  • "북·미 정상회동 필요성 절실…상태 되돌릴 일대 전환점"

  • "트럼프 할 만한 조치 다해…오늘내일 北 입장 표명해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북미회담 가능성 등에 대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북미회담 가능성 등에 대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8일 "통일지향의 '평화적 두 국가론'을 통일부가 확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이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안인지'를 묻자 "'정부안으로 확정될 것이다'라는 말은 정정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앞서 정 장관은 지난 14일 국정감사에서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의 입장으로 확정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언급했지만, 정부 내에서 남북은 '국가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라는 목소리가 나오자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어 통일부가 정부의 한 부서로서 국제학술회의 등을 통해 이 문제를 계속 다루고 있다면서 평화적 두 국가론이 "통일부의 안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말씀을 드렸고, 정부 내에서도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북·미 정상 간 회동 가능성을 묻는 인요한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가능성보다 필요성이 더 간절하다"고 답변했다.

그는 "지난 6년 넘게 완전히 단절, 대결, 공백 속에서 한반도의 긴장이 격화되고 평화와 안정이 흔들렸던 상태를 돌려놓을 수 있는 터닝 포인트, 일대 전환점이라는 의미에서 통일부 차원에서 북·미 회동에 대비해서 여러 가지 준비를 해 왔다"고 부연했다.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북한 입장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다면 그 주된 이유가 어떤 것일 것으로 짐작하냐"고 질문하자 정 장관은 "모든 게 국익"이라며 "국익의 첫 번째는 (북한이) 지금 계속 강조해 온 이른바 핵보유국으로 인정해 달라는 요구가 전면에 나와 있고, 두 번째는 안보 우려와 관련해서 북·미 관계의 정상화, 이것이 김정은 위원장 머릿속에 들어 있는 주요한 국익의 기둥들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또 하나 있다면 (대북)제재 해제 문제가 핵심적인 사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태호 국민의힘 의원의 관련 질의에는 "현재로서는 모든 것이 불확실하지만, 아마도 오늘 또는 내일 중에 김여정 부부장 정도를 통해서 입장 표명이 있지 않을까 이렇게 내다보고 있다"며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조치는 거의 다 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제 김정은 위원장의 결심이 남아 있는 건데 아마 몇 가지 전략적 고려 요소가 있을 것"이라며 "이번이냐 다음이냐, 판문점이냐 평양이냐, 하노이의 트라우마를 딛고 이번에 갈 거냐 말 거냐하는 몇 가지 전략적 지점을 고민하고 있다고 본다. 어쨌든 이번에 판문점 회동이 이루어지려면 오늘내일 사이에는 북쪽의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의제 조율 여부에 대해서는 "북·미 정상회동을 상정해서 한·미 간에 논의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면서 "중요한 것은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라고 힘줘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