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은 29일 오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APEC 지역 내 문화산업과 K-컬처 소프트파워’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그는 “제가 태어나고 자란 대한민국에서 APEC의 주요 인사들을 만나 제 이야기를 전할 수 있어 영광”이라며 “창작자의 시각에서 K-팝이 어떻게 국경을 넘어 세계인의 마음을 움직였는지, 그 정성적인 연결의 의미를 나누고 싶다”고 운을 뗐다.
RM은 방탄소년단의 글로벌 성공 여정을 회고하며 “십여 년 전만 해도 빌보드 뮤직 어워즈나 그래미 어워즈 같은 무대는 상상하기 어려웠다”며 “해외에서 ‘한국 아티스트’라고 소개되면 음악보다 ‘북한에서 왔느냐’ ‘한국은 어디에 있느냐’는 질문을 먼저 받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금 방탄소년단은 ‘비영어권 아티스트’의 한계를 넘어 전 세계 팬들의 사랑을 받는 글로벌 그룹으로 자리매김했다. RM은 “우리가 이 자리에 설 수 있었던 건 아미(ARMY)의 ‘국경 없는 포용력’과 ‘강한 연대’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많은 글로벌 문화 콘텐츠 중 K-팝이 유독 강력하고 포용적인 공동체를 만들어낸 이유는 그 안에 특별한 융합 원리가 있기 때문”이라며 “K-팝은 한국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다양성을 존중하고, 세계 문화를 폭넓게 수용하는 비빔밥 같은 존재”라고 비유했다.
RM은 문화의 본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문화란 흐르고 전해지고 때로는 섞이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낸다. K-팝처럼 조화로운 융합을 통해 새로운 창조가 가능하다고 믿는다”며 “이런 창조적 문화의 흐름이 세계 곳곳에서 계속 이어지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연설 말미에서 RM은 APEC 각국 리더들에게 창작자들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당부했다. 그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아티스트로서 부탁드린다. 전 세계 창작자들이 자유롭게 창의성을 펼칠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과 기회의 장을 마련해 달라”며 “그들의 콘텐츠는 ‘다름’을 넘어 진정한 이해와 포용을 이루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연대의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