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강북구 수유1동 등 고지대 지역에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위해 ‘미아 배수지’ 건설에 착수한다.
서울시는 다음달 3일 미아 배수지 공사에 돌입하며, 2027년 7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최근 공사에 들어간 강서구 까치산 배수지에 이어 두 번째 착공 사례로, 2040년까지 총 7개의 배수지를 단계적으로 확충해 고지대 급수 품질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미아 배수지는 5000 톤 규모로 서울시 내 103개 배수지 중 50번째 수준의 중형 시설이다. 특히 정전이나 설비 고장으로 단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최대 12시간 비상급수가 가능해 강북 지역 수돗물 공급 안정성이 강화될 전망이다.
현재 수유동·삼양동·삼각산동 일대 약 2만5000 세대는 월계배수지와 북악터널배수지에서 펌프를 이용해 물을 끌어올리는 직결급수 방식으로 공급받고 있는데, 전력 소모가 크고 정전 시 단수 우려가 있었다.
새로운 미아 배수지는 삼각산 해발 140m 지점에 건설돼 고도 차를 활용한 간접급수 방식으로 운영된다. 중력 낙차를 통해 자연 유하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전력 없이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정전 상황에서도 중단 없이 물 공급이 가능하며, 펌프 고장 우려가 줄어 장기적으로 관리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2040 서울수도기본계획’의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이다. 시는 까치산과 미아 배수지를 시작으로 관악구 신림3동, 서초구 매봉재·반포수, 종로구 효자동, 성북구 북악동 등 고지대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배수지를 확충할 계획이다. 이들 7개소가 모두 완공되면 총 3만 톤의 저장 능력이 확보되며, 급수 취약 지역 약 17만 세대가 보다 안정적인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배수지 신설 사업은 단수 대비뿐 아니라 노후 인프라에 따른 수압 편차 해소, 고층 개발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 평가된다. 서울시는 직결가압 방식과 간접급수 방식을 병행해 지역 특성에 맞는 급수체계 구축을 지속할 예정이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미아 배수지는 강북 고지대 수압 안정과 단수 대비 체계 구축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서울시는 지속적인 배수지 확충과 현대화로 시민 누구나 수압 걱정 없이 깨끗하고 안전한 아리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