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김포시장 "군사지역 접경지 특색 살려 안보 넘어 문화로 소통…전국 대표 관광 도시로"

  • 김포시-해병대제2사단, '해병대문화축제' 접경지 관광 새 역사 썼다

김포시가 1일 김포 함상공원 및 대명항 일대에서 ‘2025 김포 해병대 문화축제’를 개최했다 사진김포시
김포시가 1일 김포 함상공원 및 대명항 일대에서 ‘2025 김포 해병대 문화축제’를 개최했다. [사진=김포시]
경기 김포시(시장 김병수)는 해병대 제2사단(사단장 최영길)과 공동 개최한 ‘2025 김포 해병대 문화축제’에 5만명의 관람객이 모이며 특별한 축제가 있는 관광도시 김포의 위상을 또 한 번 입증했다. 올해로 두 번째 열린 축제임에도 불구하고 5만 인파를 기록한 것은 이례적인 사례로, 애기봉에 이어 대명항이 관광지로 급부상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 

라베니체 축제와 대명항 선셋 페스타, 해병대 문화 축제 등 김포 자원의 특색을 새로운 시각으로 살린 축제들이 김포를 ‘또 한 번 방문하고 싶은 도시’로 바꿔나가고 있다는 목소리다. 특히 해병대 문화 축제는 접경지 김포의 인식을 전환하고 접경지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시가 1일 김포 함상공원 및 대명항 일대에서 개최한 ‘2025 김포 해병대 문화축제’는 헬기와 상륙돌격장갑차(KAAV)가 동원된 박진감 넘치는 상륙작전 시연부터 특공무술인 ‘무적도 시연’, ‘강철 근육 콘테스트’ 등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해병대 문화를 다양하게 펼쳐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전투 장비를 직접 만져보고 실제 기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해병대의 위용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역동적인 해병대의 진수를 선보였다는 목소리다. 
사진김포시
[사진=김포시]
관람객들은 "접경지역인 김포에서 이처럼 박진감 넘치는 해병대 축제를 즐기게 돼 더욱 특별하다", "접경지 김포의 해병대 하면 어렵고 무서울 줄 알았는데 이번 축제를 통해 강인하고 멋진 해병대로 각인됐다", "이제 김포는 축제는 믿고 가는 도시", "이번 축제를 통해 아이가 해병대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내년에 또 올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축제는 해병대 출신 개그맨 박경호 씨의 재치 있는 행사 진행으로 특별함을 더했으며 해병대전우회 김포시지회, 파월청룡전우회 등 전국 각지의 전우회와 해병대 가족들이 함께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축제가 대명항 일원에서 개최되면서 제철을 맞은 대명항 해산물과 함께 축제를 즐기려는 방문객들로 인근 상권은 활기를 띠면서 해병대 문화 체험을 넘어, 대명항의 미식 관광까지 즐길 수 있는 축제로 거듭났다. 
사진김포시
[사진=김포시]
김병수 시장은 이날 환영사를 통해 "우리 김포는 북한을 바라보고 있지만 그 어느 곳보다 안전한 지역이다. 해병2사단 덕분이다. 김포 해병대 문화축제는 김포의 역사와 운명을 함께 해 온 해병대와 김포시민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교류하는 매우 의미있는 축제"라며 "김포는 군사지역 접경지라는 특색을 살려 안보를 넘어 문화로 소통하는 해병대 문화축제를 개최했고, 이를 통해 ‘문화관광도시 김포’의 면면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도 김포만이 가진 자원에 매력적인 콘텐츠를 더해 전국에서 찾아오는 새로운 관광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길 해병대 제2사단장은 "오늘 문화축제는 지난 1951년 김포와 처음으로 인연을 맺은 해병대가 지역사회 일원이자 동반자로서, 김포 시민들의 사랑과 성원에 보답하고 상생하는 화합의 장"이라며 "앞으로도 임무완수를 통해 김포시민을 가장 안전하게 지키는 든든한 이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포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애기봉을 세계적 명소로 만든데 이어 대명항 국가어항 예비대상항 지정을 시작으로 대명항 활성화에 속도를 올리고 있으며 이밖에도 신안리 국가유산지정 추진, 문수산성 복원 방안 모색 등 김포 북부권 관광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