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국민의 삶과 미래 산업을 위한 투자"라며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를 뒷받침했다.
김 원내대표는 "전략 산업인 AI(인공지능)·반도체· 연구·개발(R&D) 등은 반드시 지켜야 할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복지와 산업, 지방 균형 투자를 병행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기 회복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이소영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26년도 예산안 토론회'에서 "(윤석열 정부 때) 무너진 경제 기반을 어떻게 재건할 것인지가 이번 2026년 예산안 심사의 가장 큰 화두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재명 정부의 재정 중독 기조 속에 눈덩이처럼 불어난 국채 발행의 결과 국가채무는 내년 처음으로 1400조원을 넘어서게 된다"며 "나라 곳간은 텅 비어가는데, 이재명 정부는 빚으로 생색내고 세금으로 표 살 생각에 혈안"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돈 뿌리기, 전문 포퓰리즘 정부답게 소비쿠폰·지역화폐·농촌기본소득·지역 SOC 사업 등 예산 곳곳이 표심을 겨냥한 현금 살포와 선심성 지출로 뒤덮여 있다"며 "명분은 민생 회복이지만, 실상은 표를 사기 위한 현금 살포 예산"이라고 지적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소비쿠폰처럼 경제적 효과가 미입증됐음에도 미래세대에 부담이 전가되는 대규모 포퓰리즘 예산은 삭감할 것"이라며 "청년, 2030세대가 간절히 바라는 정책들을 최대한 예산에 담아보려고 한다"고 밝혔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오는 5일 예산안 공청회를 시작으로 6~7일 종합정책질의를 한다. 10∼11일에는 경제부처, 12∼13일에는 비경제부처 부별 심사를 각각 진행하고, 17일부터 예산안조정소위(예산소위)가 본격 활동한다. 소위 의결을 거친 뒤 전체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이 의결된다.
내년도 예산안 국회 본회의 처리 법정 시한은 12월 2일로 정해져 있지만,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예산안 심사인 만큼 여야 대치로 인해 법정시한 내 처리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