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부는 4일 오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철강 수출공급망 강화 보증상품 신설 업무협약식(MOU)'을 진행했다.
이는 이날 오전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의 일환이다. 정부는 수출기업의 금융 부담 완화와 공급망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철강 수출공급망 강화 보증상품'을 새로 도입했다. 미국 등 주요국의 통상장벽 강화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 협력사와 철강 파생상품 생산업체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보증상품은 포스코와 기업은행, 무역보험공사가 공동으로 추진한다. 포스코와 기업은행은 총 200억원을 출연하고 무역보험공사는 이를 바탕으로 총 4000억원 규모의 우대보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문신학 산업부 차관은 협약식에서 "우리 주력 수출산업인 철강산업이 국내외적으로 전례없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신설된 보증상품이 중소·중견기업의 숨통을 트여주는 것은 물론 철강업계의 상생 협력 강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현장의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이어진 철강업계 CEO 간담회에서는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의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설비조정 지원, 통상대응, 고부가·저탄소 전환 등을 추진해 근본적 경쟁력 제고를 도모할 계획이다.
업계는 정부의 이번 대책이 철강산업의 방향 전환에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현장의 어려움을 반영한 세밀한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차관은 "정책의 효과가 현장에서 체감되려면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라며 "정부는 제도적 뒷받침과 현장 지원을 강화하겠다. 업계도 고부가·저탄소 전환과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상생 협력 확대 등 구조 전환 노력을 함께 병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