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굴착깊이 10m 이상 공사장 127곳 합동점검

  • 8월까지 51개소 점검 완료…연내 127개소 완료 예정

토사 노출 구간 조치 완료 개선 후 사진서울시
토사 노출 구간 조치 완료 (개선 후). [사진=서울시]
올해 전국적으로 굴착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한 대형 지반침하 사고로 시민 불안이 높아진 가운데, 서울시가 굴착공사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4월부터 12월까지 상·하반기(4~8월, 9~12월)로 나눠, 굴착공사장 전체의 지하안전관리 실태를 살피고 지반침하 사고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전문가 합동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4일 밝혔다. 

점검에는 서울시 지하안전과에서 운영하는 '지하안전자문단' 소속 전문가와 사업 인허가부서, 해당 자치구 지하안전부서가 함께 참여한다.

점검 대상은 서울시 내 굴착공사장 중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지하안전평가 대상인 굴착 깊이 10m 이상, 굴착공정이 진행 중인 127개소다. 자치구 요청을 반영해 상반기에 51개소를 우선 점검했고, 하반기에는 나머지 76개소를 대상으로 점검을 이어가고 있다.

점검단은 현장에서 굴착공사 진행 상황과 주변 지역 지하안전관리 실태를 직접 확인하며 △지하안전평가 협의(재협의) 이행 여부 △착공 후 지하안전조사 관련 사항 △계측기 관리 상태 △그 외 현장 안전관리 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한다.

시는 상반기 점검을 통해 잠재적으로 지하안전을 위협하거나 공사장 안전관리가 미흡하다고 평가된 총 242건을 지적하고, 이 중 192건(79%)을 즉시 개선 조치토록 했다.

주요 지적 사항은 △흙막이 벽체나 차수 공법 등에 대한 지반 안전성 관리 미흡(84건) △계측기 보호·잠금 장치 등 관리 소홀(39건) △안전망 미설치 등 공사장 안전관리 미흡(98건) △기타(21건) 등이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도심에서 발생하는 대다수의 지반침하 사고는 노후된 상하수도관이 원인이나, 인명피해를 동반한 지반침하는 굴착공사장 주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서울시는 굴착공사장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점검과 주기적인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병행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지하안전망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