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美 항모 카리브해 진입에 베네수 軍 동원령…충돌 위험에 美 우방국들도 '우려'

  • 영국과 캐나다 등 우방국도 우려…"마약 밀매선 관련 정보 제공 안 해"

미 해군의 제럴드 R 포드함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 해군의 제럴드 R 포드함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네수엘라의 니콜라스 마두로 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해 군사 개입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군 항공모함 전단이 베네수엘라 인근 해역에 전개됐다. 이에 베네수엘라는 정규군과 민병대까지 동원하며 총력전에 돌입했다.

11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미 해군은 "미국 최대의 항공모함인 제럴드 R 포드함이 미 남부사령부 작전구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미 남부사령부의 작전구역에는 멕시코 이남 중남미 지역과 주변 해역, 카리브해 등이 포함된다.

2017년 취역한 포드함은 세계 최대 규모의 최신예 항공모함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마약 카르텔을 겨냥한 미군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달 전단의 전개를 지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베네수엘라의 마약 카르텔을 테러 단체로 지정하고, 미군 자산을 투입해 '마약 운반선'으로 지목된 선박을 격침시켜왔다. 이에 베네수엘라 정부는 "마두로 대통령 축출이 미국의 진짜 목적"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로이터통신은 미군이 지난 9월 이후 카리브해와 중남미 태평양 연안에서 마약 운반선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상대로 최소 19차례 공습을 감행해 76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현재 해당 지역에는 군함 8척과 핵잠수함, F-35 전투기 등이 배치돼 있다.

숀 파넬 미 국방부 대변인은 "이들 전력은 마약 밀매를 차단하고 초국가적 범죄단체들을 저해·해체하기 위한 기존 역량을 강화·보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사력에서 현저히 열세인 베네수엘라는 민간인 대상 전투훈련까지 실시하며 '영토 수호' 의지를 내세우고 있다. 블라디미르 파드리노 로페스 국방장관은 성명을 통해 육·해·공군 및 예비군 부대가 12일까지 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이번 조치는 미국의 군사력 증강이 초래한 '제국주의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이번 훈련에는 '볼리바르 민병대'도 참여한다고 덧붙였다. 이 민병대는 남미 독립영웅 시몬 볼리바르의 이름을 딴 민간인 기반 예비 전력이다.

로이터는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베네수엘라군이 현실적인 전력 격차를 고려해 미군에 맞서 '게릴라 전술'을 채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미군의 공습이나 지상 타격이 있을 경우 소규모 부대가 전국 280여곳에서 분산 대응하는 방식으로 맞설 계획이라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베네수엘라 정부가 수도 카라카스를 혼란에 빠뜨려 외세의 개입을 어렵게 만드는 '무정부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보기관과 무장한 여당 지지자들이 수도를 통제 불능 상태로 만들어 외국 군대의 진입 자체를 막으려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로이터는 이런 전략의 성공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마두로 정부는 러시아에 수호이 전투기 정비와 레이더 시스템 개선, 미사일 체계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마두로 정부는 수십 년 된 구식 러시아제 장비까지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네수엘라는 2000년대 러시아로부터 수호이 전투기 20여대를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의 군사작전 확대에 대해 전통적 동맹국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영국은 카리브해 일대 마약 밀매선 관련 정보를 더 이상 미국에 제공하지 않기로 했으며 캐나다 역시 "자국 정보가 미군의 공격에 이용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캐나다 국방부 대변인은 "미 해안경비대와의 협력과 미군의 공습은 별개의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장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외무장관 회담에서 "카리브해 군사작전은 국제법을 위반하고 있다"며 "우리는 어떠한 군사적 격화도 피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 또한 "미군이 마약 운반선 타격을 중단할 때까지 미국과의 정보 공유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재향군인의 날인 이날 워싱턴DC 인근 알링턴국립묘지에서 열린 기념행사에서 "미국의 전사들은 절대 포기하지 않고 절대 항복하지 않는다. 그들은 싸우고 싸우고 싸우고, 이기고 이기고 이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우리는 단 하나의 이유, 승리를 위해서만 전쟁을 치르겠다. 우리는 이기려고 싸운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