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 수학 1등급 가운데 미적분·기하 비중은 감소하고 확률과 통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과생 고득점자가 늘어나면서 이과생이 인문계열 학과에 지원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 현상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6일 종로학원이 2026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 자사 가채점 분석을 토대로 표본 조사한 결과 수학 미적분·기하 응시자 중 1등급 차지 비율이 지난해 92.3%에서 올해 79.3%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확률과 통계'는 7.7%에서 20.7%로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올해 '확률과 통계' 응시자가 29만7726명으로 지난해보다 27.7%(6만4615명) 늘어난 반면 미적분은 20만7791명으로 15%(3만천617명) 감소하고 기하도 0.5%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확률과 통계' 접수자 증가분 대부분은 문과생으로 보이고 수능 가채점 결과에서도 지난해보다 우수한 학생이 '확률과 통계'에 더 많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미적분·기하 1등급 비율 하락 전망에 따라 이과생 입지가 약화하는 만큼 '문과 침공' 현상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문·이과 완전 무전공 선발 전형 등에서도 이과생보다 문과생 합격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 대표는 "문과생 자체가 늘어난 상황에서 문과 학과 간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라며 "사탐런(이과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에 응시)으로 인한 사탐 고득점자가 늘어나면서 문과 학과 합격선도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