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시장이 규제 직후 거래 가뭄에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거래된 금액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0·15 대책 이후 비강남권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급감했지만, 남아 있는 거래는 대부분 강남권·한강벨트의 고가 아파트가 차지하면서 평균 거래금액이 오히려 커졌다는 분석이다.
이런 이유로 정부가 전방위 규제로 수요를 억제하는 상황에서도 자산가치가 높은 강남권과 한강벨트 지역으로 수요가 쏠리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 현상이 더 뚜렷해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10·15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크게 감소했다. 10월 16일부터 이달 19일까지 아파트 거래는 총 3314건을 기록하며 규제 전 같은 기간의 1만2191건과 비교해 72.8% 줄었다.
정부가 이번 대책을 발표하면서 서울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과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3중 규제'를 동시에 시행했고,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한도를 종전 70%에서 40%로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액 상한을 가격에 따라 15억원 미만 6억원, 15억원 초과∼25억원 이하 4억원, 25억원 초과 2억원으로 차등 적용하면서 거래 절벽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규제 이후 거래 규모가 크게 줄어든 것과 달리 거래 금액은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14억3752만원으로 집계됐다. 10월 평균 12억3778만원에서 한 달 만에 2억원 이상 오른 것이다. 지난 8월 이후 석 달 연속 상승세로, 규제 시장이 단기 침체 국면에 들어서며 거래가 줄었음에도 금액이 오르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고가 주택 거래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보고 있다. 노원·도봉·강북 등 이른바 '노도강'과 같은 비강남권은 거래가 사실상 멈춘 수준인 것과 달리, 강남3구와 용산·성동을 잇는 한강벨트의 고가 아파트 거래는 지속되면서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이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서초·강남·용산까지 이어지는 주요 단지에서도 올해 최고가를 경신하는 사례가 늘고, 가격 상승세도 지속되면서 규제가 시장을 제어하지 못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송파구의 아파트 매매 상승률은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0.53% 올랐는데, 2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서초구는 0.20%에서 0.23%로, 강남구는 0.13%에서 0.24%로 확대됐다. 용산구도 0.31%에서 0.38%로 높아졌다.
부동산 정책이 거래를 잠시 얼어붙게 만들었지만 결국 현금 동원력이 좋은 수요를 막지 못하며 '똘똘한 한 채' 현상을 강화했고 자산 양극화를 고착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시장을 완전히 동결시킨 상황인데 그로 인해 급속 냉각됐다고 볼 수 있다"며 "똘똘한 한 채 중심으로 시장이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