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와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해외 인재 2000명을 국내로 끌어들이고, '리더급 국가과학자' 100명을 새롭게 발탁한다.
정부는 24일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의결했다.
이번 전략은 학령인구 감소와 이공계 기피 현상, 기술경쟁력 유지 필요성 등을 고려해 마련됐다. 정부는 석사생 수가 2027년 6만324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줄어들고, 박사생 수 역시 2030년 4만9308명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해외 유학생의 국내 미복귀뿐 아니라 대학 이공계 교원과 인공지능(AI) 기술 인력의 해외 유출도 심해지는 상황이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국내 정착 비율은 박사 취득자의 54% 수준에 그친다고 분석했다.
이에 정부는 '국가과학자' 제도를 신설해 우수 과학·공학 인재가 국가 핵심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안정적 지원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오는 2030년까지 리더급 국가과학자 100명을 선정해 매년 약 20명씩 발탁한다. 이들에게는 국가과학지원금 등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돕는다.
AI와 과학기술을 아우르는 융합 인재 양성도 확대한다. 지역 과학기술연구원과 연계한 AI 특화 과학영재학교를 신설하거나 기존 학교를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기업-과기원 공동 연구센터를 운영해 지역별 AX(인공지능전환) 인력을 키울 방침이다.
차세대 AI 융합 인재 확보를 위해 AI 중심대 지정, AI 대학원 확충 등도 함께 추진한다. 연구자 지원 체계 고도화를 위해 전략 분야 과학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도 병행한다.
이공계 생태계 강화를 위한 학생·청년 연구자 지원도 대폭 늘린다. 청년과기인 도약적금을 신설해 안정적 연구 환경을 제공한다. 대학·출연연 연구직 일자리를 늘리는 동시에 기초연구 과제 수도 확대한다. 출연연 최우수 연구자(상위 1%)에 대한 인센티브도 포함한다.
해외 인재 유치도 핵심 과제로 삼았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해외 인재 2000명을 확보한다는 목표 아래 대학·출연연 중심으로 안정적인 연구 여건을 제공한다. 또 최대 10억원 수준의 인건비 특례 지원 등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연구 분야 '탑티어 비자' 제도도 신설해 배우자의 취업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장기 정주 환경을 마련한다.
정부는 "2030년 이후에는 이공계 인력의 절대적 유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5년이 위기 극복의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이공계 연구자가 국내에서 안정적인 미래 비전을 그릴 수 있도록 성장 생태계 혁신에 최우선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