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한국·일본 싸운 것"… 송진우, '역사 왜곡' 지적에 사과

  • 표현 부적절 지적…제작진도 영상 비공개

사진채널 354 삼오사 유튜브 캡처
[사진=채널 '354 삼오사' 유튜브 캡처]

배우 송진우가 일본과 관련한 발언으로 역사 왜곡 논란이 일자 공식 사과했다.

논란은 지난 25일 유튜브 채널 '354 삼오사' 영상에서 비롯됐다. 송진우는 일본인 아내와의 일상, 자녀 교육 방식 등을 언급하며 "아이에게 '옛날에 한국과 일본이 싸웠다'고 설명하는데 아내 앞에서 아이가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말하기도 한다"며 "하지만 아내는 개의치 않고 일본 사람들은 그런 부분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출연자 알베르토 몬디도 자녀의 한국사 관심을 언급하며 '엄마, 일본 사람들이 진짜로 나빴다'고 한다면서도 "양쪽의 이야기를 모두 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고 덧붙였다.

해당 발언이 공개되자 온라인에서는 "일제강점기를 단순한 분쟁처럼 표현한 것 아니냐", "식민지배를 '둘이 싸웠다'고 말하는 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특히 '양쪽 의견을 들어야 한다'는 표현 역시 식민지 역사에 대한 균형 없는 시각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논란이 확산되자 송진우는 2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사과의 뜻을 밝혔다. 그는 "신중하지 못한 언행으로 상처와 실망을 드렸다"며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 부모의 국적을 이유로 겪는 혐오와 폭력 문제를 염두에 두고 아이에게 '역사는 정확히 알고, 폭력은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이 눈높이에 맞게 말하려다 '싸웠다'라는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게 됐는데 변명의 여지 없이 제 실수"라고 책임을 인정했다.

영상 제작진 역시 사과문을 내고 문제의 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제작진은 "편집 과정에서 발언의 취지가 온전히 전달되지 못했다"며 "이번 문제를 무겁게 받아들이며 향후 더 엄격하게 검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채널 삼오사는 구독자 41만명을 보유한 유튜브 콘텐츠로, 알베르토 몬디·다니엘 린데만·럭키 등이 참여해 외국인의 한국 생활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소개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