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재, 김건희 '김안방'이라 저장…특검 "정치적 운명 공동체"

  • 尹 부부, 수시 통화·메시지 정황...검찰 인사 관여했나

  • 명품백·주가조작 무혐의 흐름 검토…박 전 장관 추가 입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2월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박성재 법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2월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박성재 법무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관계를 '정치적 운명 공동체'로 규정하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특검은 작년 5월을 전후해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박 전 장관이 수시로 통화하고 메시지를 주고받은 정황을 확보했다.

28일 특검에 따르면 작년 5월 2일 이원석 전 검찰총장이 서울중앙지검장에게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 전담수사팀 구성 지시를 내린 직후, 윤 전 대통령과 박 전 장관은 통화를 지속했다. 5월 4일 두 사람은 약 1시간 15분 통화했고, 다음 날 김 여사는 박 전 장관에게 김혜경·김정숙 여사 관련 수사 지연과 김명수 대법원장 사건 처리에 대한 불만을 담은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냈다. '전담수사팀 구성 지시 관련 검찰 상황 분석' 자료도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은 5월 12일에도 박 전 장관에게 네 차례 전화를 걸어 총 42분간 통화했다. 다음 날 법무부는 서울중앙지검 지휘부와 대검 참모진을 대폭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이어 5월 15일에는 김 여사와 윤 전 대통령이 박 전 장관에게 동일한 내용의 지라시를 보내기도 했다. 지라시는 이 전 검찰총장이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에 반발해 김 여사 수사를 지시했고, 그 여파로 지휘부 교체가 이뤄졌다는 내용이었다. 박 전 장관은 지라시를 받은 당일 오전 윤 전 대통령과 약 10분 통화했다.

특검은 디지털 포렌식 과정에서 박 전 장관이 김 여사를 '김안방'으로 저장해 둔 사실도 확인했다. 특검은 이를 "사적 친분을 넘어선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는 정황"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박 전 장관이 검찰 인사와 김 여사 사건 처리 과정에서 긴밀히 움직였고, 명품백 수수 의혹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모두 무혐의로 이어진 점에 주목하고 있다.

당시 전담수사팀이 전면 교체된 이후 김 여사는 검찰청이 아닌 경호처 부속청사에서 조사를 받았고, 관련 사건들은 잇따라 무혐의로 종결됐다. 특검은 김 여사의 사법리스크가 비상계엄 검토 배경 중 하나로 거론되는 만큼 해당 시기 움직임을 면밀히 분석 중이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을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추가 입건해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박 전 장관을 한 차례 더 소환한 뒤 기소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반면, 김 여사는 참고인 신분이어서 조사에 응하지 않아도 강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수사에 제약이 있다는 게 특검 설명이다.

박지영 특검보는 "강제 소환이나 기소 전 증인신문을 활용할 여건이 되지 않는다"며 "기한 내 조사에 진척이 없으면 김건희 특검팀에서 후속 조사를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김건희 특검과 수사 범위 충돌 여부를 놓고 향후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