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학개론
화 연재
  • [공시학개론] 락업 해제는 왜 주가에 영향을 미칠까요?…의무보유 공시 보는 법
    [공시학개론] 락업 해제는 왜 주가에 영향을 미칠까요?…'의무보유' 공시 보는 법 "의무보유 확약이 해제됐습니다." 주식시장 공시를 자주 살펴보는 투자자라면 한 번쯤 이런 문구를 본 적 있으실 겁니다. 기업공개(IPO) 이후 '의무보유 해제' 일정이 다가오면 주가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도 많아 투자자 입장에서는 꼭 확인해야 할 정보 중 하나인데요. 락업이라고 불리는 의무보유 확약(단기매도 제한)은 신규 상장 기업의 일정 지분을 보유한 주주들이 상장 직후 일정 기간 동안 주식을 팔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제도입니다. 상장 직후 유통 가능한 물량을 제한해 갑작스러운 주가 희석으로 인 2025.07.01 11:00
  • [공시학개론] 올해만 자진상폐 공개매수 네 곳…투자자들의 선택은?
    [공시학개론] 올해만 자진상폐 공개매수 네 곳…투자자들의 선택은? 지난주 수요일(6월 18일) 피부미용 의료기기 업체 비올의 주가는 하루 동안 10.54% 급등했습니다. 장중 1만2400원까지 오르며 2020년 스팩 합병을 통해 코스닥에 상장한 이래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비올의 주가 급등은 공시 하나가 촉발했습니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디엠에스(DMS)로부터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가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자진 상장폐지를 목적으로 공개매수를 진행하겠다는 공시였죠. 올해만 네 개의 상장사가 자진 상장폐지 목적의 공개매수를 발표했습니다. 비올을 비롯해 한솔PNS, 텔코웨어, 신성통 2025.06.24 11:00
  • [공시학개론] 파마리서치 사례로 본 인적분할과 주가의 상관관계
    [공시학개론] 파마리서치 사례로 본 인적분할과 주가의 상관관계 상장사들이 기업을 분할하는 방식은 물적 분할과 인적 분할 두 가지가 있습니다. 어떤 방식을 선택하느냐는 회사 경영진의 판단이지만, 주주 권리와 기업 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에 상법은 회사 분할의 경우 이사회 결의만으로는 부족하고,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일반 결의는 주주총회에 출석한 주주의 과반수이자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상이 찬성하면 되지만, 특별결의는 요건이 훨씬 까다롭습니다.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찬성이 있어야 의결 2025.06.17 11:00
  • [공시학개론] 기업이 돈을 조달하는 또 다른 방법…단기차입금, 무슨 의미일까
    [공시학개론] 기업이 돈을 조달하는 또 다른 방법…단기차입금, 무슨 의미일까 기업은 투자와 영업활동을 통해 이익을 냅니다. 투자와 영업을 위해선 돈, 즉 자금이 필요합니다. 자금 조달은 크게 두 가지 경로로 진행됩니다. 내부잉여금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외부에서 자금을 끌어와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 알아볼 것은 외부로부터의 자금 조달, 그 중에서도 단기차입금에 관한 내용입니다. 간혹 기업 공시 사이트에서 단기차입금을 늘리기로 했다는 공시를 볼 수 있는데요. 우선 단기차입금의 정의부터 알아보죠. 단기차입금은 변제기한이 1년 이내에 도래하는 차입금을 말합니다. 보통 운전자금, 즉 당장 운영에 2025.06.10 11:00
  • [공시학개론] 내 주식을 맘대로 판다고?…반대매매가 뭐길래
    [공시학개론] 내 주식을 맘대로 판다고?…반대매매가 뭐길래 “어라 내 주식이 어디 갔지?” 갑자기 주식이 사라져 놀란 투자자들이 있을 겁니다. 이는 ‘반대매매’ 때문입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3일 주식 미수금은 8865억원 발생했으며 98억원이 반대매매 됐습니다. 미수금을 써서 산 주식 중 약 1.1%가 시장에 강제로 팔려나간 것이죠. 주식 투자자는 반대매매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수 있습니다. 반대매매란 증권사가 투자자의 동의 없이 보유 중인 주식을 강제로 매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매수한 주식(신용거래융 2025.05.27 11:00
  • [공시학개론]구주매출 뭐길래…상장 새내기주 울고 웃는 공모구조
    [공시학개론] '구주매출' 뭐길래…상장 새내기주 울고 웃는 '공모구조' 지난달 말과 이달 초 IPO(기업공개)를 철회한 롯데글로벌로지스, DN솔루션즈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높은 구주매출 비중이에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공모주식의 50%, DN솔루션즈는 56.8%를 구주매출로 발행할 계획이었어요. 구주매출은 무엇이고, 상장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걸까요? 구주매출 비중은 공모주의 투자 매력을 분석할 때 반드시 언급될 정도로 공모구조의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구주'는 말 그대로 새로 찍어낸 주식(신주)이 아닌, 기존 주주가 가지고 있던 주식을 일컬어요. 구주매출은 기존 주주가 2025.05.20 11:00
  • [공시학개론] 자기 전환사채 매도 공시…주가 영향 있을까요
    [공시학개론] 자기 전환사채 매도 공시…주가 영향 있을까요 전환사채(CB)는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들의 훌륭한 자금 조달 창구입니다. 그런데 일부 기업들은 CB를 만기 전에 취득한 뒤 매각하는 곳도 있습니다. 이번 공시학개론에서는 자기전환사채를 매도하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만기 전에 기업들이 사채를 취득하는 이유는 채권자가 조기 상환을 청구하는 '풋옵션' 또는 회사가 원해서 먼저 갚겠다는 '콜옵션'이 행사된 상황입니다. 주가가 크게 떨어져 채권자가 주식 전환을 포기한 경우 원금을 챙기기 위해 풋옵션을 행사하겠죠. 기업들은 이자 2025.04.29 11:00
  • [공시학개론] 유상증자로 시끄러운 삼성·한화…"도대체 뭐길래?"  
    [공시학개론] 유상증자로 시끄러운 삼성·한화…"도대체 뭐길래?"   요즘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삼성SDI,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정정공시를 잇달아 내면서 투자자 사이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바로 유상증자 때문인데요. 도대체 유상증자가 뭐길래 투자자 마음 심란하게 정정공시까지 내게 된 걸까요. 두 기업 모두 수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하는데 심사를 맡은 금융감독원의 대응도 달랐습니다. 삼성SDI의 경우 한 번의 정정신고로 통과됐지만 한화에어로는 벌써 두 번째 정정요구를 받으며 전반적인 일정이 밀렸습니다. 어떤 내용이 문제가 됐고, 왜 정정이 필요했을까요. 먼저 2025.04.22 11:00
  • [공시학개론] 증시 변동성에 ETF도 출렁…괴리율 확인은 필수
    [공시학개론] 증시 변동성에 ETF도 '출렁'…'괴리율' 확인은 필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 세계 국가를 상대로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이 글로벌 증시를 출렁이게 만들면서 상장지수펀드(ETF)의 괴리율이 기준치를 넘어서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에서도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괴리율이 과도했는지 자료를 요구하기도 했죠. 다만 업계에서는 높은 괴리율이 미국 투자 ETF의 적정 가치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현지 장외 시장에서 이뤄지는 실시간 가격 변동을 반영한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14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채널 카인드(KIND)에 따르면 이달 들어(4월 1~1 2025.04.15 11:00
  • [공시학개론]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주식 시장 안전 장치
    [공시학개론]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주식 시장 안전 장치 우리 시장 거래의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장치이면서 동시에 불안한 신호가 될 수 있는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2분 11초에 코스피200선물지수가 급락하면서 5분간 프로그램 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됐습니다. 발동 당시 코스피200선물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17.10포인트(5.19%) 하락한 312.05를 기록했습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137.22포인트(5.57%) 내린 2328.20에 장 마감했습니다.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변동한 시 2025.04.08 11:00
  • [공시학개론] 1년 반 만에 재개된 공매도…관련 정보 어디서 확인할까?
    [공시학개론] 1년 반 만에 재개된 공매도…관련 정보 어디서 확인할까? 1년 5개월 만에 공매도가 지난달 31일 전면 재개됐습니다.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 허용은 2020년 3월 이후 약 5년 만입니다. 공매도는 갖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 매도한 뒤 나중에 주식을 사서 갚는 투자기법인데요. 투자자는 자신이 보유한 증권의 가격하락에 따른 손실을 회피(헤지)하거나 고평가된 증권의 매도를 통한 차익을 얻기 위해 주로 공매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전면 재개를 앞두고 개인투자자 사이에선 우려가 깊었죠. 특히 공매도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대차거래 잔고 수량이 증가해 공매도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움직 2025.04.01 11:00
  • [공시학개론] 감사보고서·사업보고서 시즌 "투자 전 필수 요소"
    [공시학개론] 감사보고서·사업보고서 시즌 "투자 전 필수 요소" 매년 3월, 주식 투자자들이 꼭 챙겨야 할 공시가 있습니다. 이름부터 뭔가 있어 보이는 ‘사업보고서’랑 ‘감사보고서’인데요. 둘 다 중요한 문서긴 한데, 성격이 다르고 투자할 때 체크해야 하는 순서도 다릅니다. 우선 사업보고서는 한 해 동안 회사를 어떻게 운영했는지를 회사 스스로 정리한 문서입니다. 최근 1년 간 어떤 사업을 했고, 사업을 통해 얼마를 벌었고, 앞으로 신규 사업 계획은 이렇다는 내용을 보고서 형식으로 풀어쓴 겁니다. 일종의 자기소개서로 볼 수 있죠. 아울러 회사 개요부터 경영진 2025.03.25 11:00
  • [공시학개론] 주가가 떨어지면 돈 번다고?…다시 돌아온 공매도
    [공시학개론] 주가가 떨어지면 돈 번다고?…다시 돌아온 '공매도' ‘공매도’가 죽지 않고 다시 돌아옵니다. 4번째 생환이죠. 공매도는 한자로 '空賣渡'라고 표기하는데요.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로,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는 방식을 말합니다. 공매도는 오는 31일부터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전격 재개됩니다. 2023년 11월 전면 금지된 지 약 1년 4개월 만입니다. 공매도를 하기 위해서는 주식을 먼저 빌려 팔고, 추후 주식을 다시 사 빌린 주식을 갚아야 합니다. 예컨대 현재 주가가 1만원인 종목이 며칠 뒤 8000원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2025.03.18 11:00
  • [공시학개론] 연이은 자사주 신탁 공시, 투자자에게 희소식일까
    [공시학개론] 연이은 자사주 신탁 공시, 투자자에게 희소식일까 최근 자기주식(자사주) 신탁 계약 관련 공시가 줄줄이 나왔습니다. 얼마 전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4년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결산'(자기주식 취득·신탁계약 체결·소각 결정 공시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상장사의 자사주 취득 규모는 18조8400억원, 소각 규모는 13조91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국내 증시 침체에 따른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상장사들이 자사주를 매입하거나 소각하는 사례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또 정부에서 진행하는 '밸류업 프로그램 2025.03.11 11:00
  • [공시학개론] 3월은 주총시즌…주주총회 안건 확인하려면
    [공시학개론] 3월은 '주총시즌'…주주총회 안건 확인하려면 3월이 되면 기사를 통해 '주총 시즌'이라는 말을 쉽게 보고 들을 수 있어요. 상장회사들의 정기 주주총회가 집중적으로 열리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런 주주총회에는 어떤 안건들이 주로 논의되며, 내가 투자한 회사의 주주총회 안건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주주총회는 상장회사의 주주들이 모여 상법에 정해진 회사의 중요사안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회의입니다. 정기주주총회는 매년 1회 반드시 개최하도록 상법에 규정되어 있고, 개최하지 않을 경우 상법에 의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 주주총회에서는 필수 2025.03.05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