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이 제작에 착수한 '인력(人力) 비행기' 모델 |
공군은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진을 중심으로 총 7명으로 제작팀을 구성, 기계의 힘이 아닌 인간의 힘만으로 지상을 활주하고 이륙과 비행 및 착륙까지 할 수 있는 인력비행기 제작에 착수한다고 12일 밝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대한항공 등 항공우주업계 관련 단체 및 기업의 후원으로 총 3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이달부터 12월까지의 설계과정과 내년 상반기까지 시험비행용 완제품 제작, 내년 7∼8월에 시험비행을 하는 일정으로 진행된다고 공군은 전했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 일본, 영국,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인력비행기 개발에 성공한 국가로 기록된다.
공군에 따르면 무게 50∼60㎏의 인력비행기는 조종석에 앉은 조종사가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약 0.3마력의 동력을 일으켜 지상을 이륙, 글라이더형 대형 날개를 이용해 2㎞를 비행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으며 비행 성공 이후 공군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비행기 모양은 통상 항공기 모형대회에 출품되는 고무줄을 이용한 모형비행기와 흡사하며 단지 고무줄이 아닌 '페달을 밟는 힘'으로 비행한다는 게 다른 점이다.
일본은 인력비행기를 이용해 1983년 1.406km의 직선비행에 성공했고 미국은 1988년 3시간54분 동안 그리스 크레타섬에서 산토리니까지 119km를 나는 최장거리 인력비행기 비행기록을 가지고 있다.
제작팀장을 맡고 있는 최성옥(49.중령.항공공학박사) 공사 항공과 교수는 "이번 프로젝트는 사람의 힘으로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간의 꿈이자 한계에 대한 도전"이라며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내년 6월 안에 시제기 2대를 제작, 시험비행을 거쳐 8월 말에서 9월 초까지 개발을 완료해 내년 10월 에어쇼에서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또 "인력비행기에 이용되는 가벼운 재질을 만드는 기술은 향후 장시간 비행할 수 있는 무인기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