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오바마측과 접촉..."분위기 좋아

   
 
사진: 북한이 현재 미국 정권이양기에 새로운 미 행정부와의 관계에서도 모멘텀 유지 가능여부에 관심을 표시했다. 사진은 방미중인 북한 외무성 리 근 미국국장이 뉴욕 전미외교정책협의회(NCAFP) 사무실에서 성 김 미 국무부 북핵특사와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모습.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오바마 측과 북한 정부 대표단과의 첫 만남이 이뤄짐에 따라 북미간의 외교 채널이 본격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양측의 만남이 전격 이뤄진 한반도 전문가 회의에서는 북한이 오바마 정권의 탄생에 기대감을 표시하며 북핵문제를 북한과 미국 양자 간 구도로 만들기 위한 탐색 차원과 더불어 오바마 측이 대북 정책에 관한 입장에 대해 시사했을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미외교정책협의회(NCAFP)가 주최한 이번 회의에는 북한 외무성 리 근 미국국장과 오바마 진영의 프랭크 자누지 한반도 정책팀장을 비롯해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윈스턴 로드 전 동아태차관보 등이 참석했다.

이날 정오부터 4시간 동안 진행된 NCAFP 회의는 철저히 비공개로 이뤄져 자누지와 리 국장의 구체적 발언이 확인되지 않음에 따라 이번 회의에 어떤 내용이 오갔을지에 대해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회의를 마친 후 자고리아 교수는 주최 측에서 마련한 브리핑에 참석해 "오늘 회의가 조심스럽지만 어느 정도는 성공적이었다고 생각한다"고 평하면서 이날 회의가 북 측과 오바마 차기 정부 간 비공식 접촉 자리였음을 시사했다.

자고리아 교수는 "북한 측의 최대 관심사는 내년에 공식출범하는 오바마 행정부와도 계속적으로 협상이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라면서 "북한은 미국의 현 정부와 새 정부 간의 정권 교체기 동안에도 미국과의 관계에서 모멘텀을 유지하길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리 국장은 6일 북핵 협의가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북한에 대해 어떤 행동을 취하든지간에 그 행정부의 정책에 맞게 대응할 준비가 있다는 의견을 표시한바 있다. 

그러나 평소에 극도로 발언을 자제해 왔던 북 측 대표가 직접 나서 오바마 당선에 관한 의견을 피력한 것은 북측이 오바마 행정부와의 직접 대화에 큰 관심을 나타내는 동시에 차기 미 정부에 대한 대화 압박으로 풀이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도 북한이 현재 북·미간 현안이 오바마 정부로 제대로 인수인계되고 있는지에 대해 비교적 큰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며 "북한의 관심이 현 정부 대화 채널이 아닌 차기 정부와의 새로운 관계 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시사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