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사태로 인한 협력업체 부도 등 우려했던 파장이 현실화하고 있다. 이달 말 협력업체들의 납품대금 어음 만기가 도래하는데, 이를 갚지 못할 경우 이들 회사의 연쇄 부도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쌍용자동차 255개 협력업체들로 구성된 채권단은 이달 29일 어음만기일이 다가오면서 각 금융기관으로부터 환매청구를 요구받고 있다며 해결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2일 법원이 쌍용차의 재산보전신청을 받아들이면서 채권 및 채무가 동결됨에 따라 협력업체가 어음으로 받은 납품 대금 933억의 결제를 받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쌍용차 협력사는 1차 부품협력업체 255곳을 포함해 2, 3차 협력 부품공급 업체가 약 1300곳에 달하며 상시 근로자는 약 20만 명가량이다.
만기어음의 정상 지급이 안 되면 근로자 20만 명이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협력사 역시 연쇄 도산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날 쌍용차 협동회 채권단은 위기 대책 마련을 위한 긴급회의에서 신용보증기관이 어음을 담보로 보증을 서 금융기관이 대출을 해주는 방안과 중소기업 지원자금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에 앞서 쌍용차 협력업체들은 지난 9일 납품대금 결제를 받지 못해 부품 공급을 중단한 바 있다. 하지만 재산보전신청 이후에도 현금 결제가 가능하다는 쌍용차 측의 설득으로 다시 재가동 했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 지식경제부는 쌍용차와 현대·기아차에 동시 납품하고 있는 협력업체에 신설예정인 상생협력펀드 우대 혜택을 주거나 협력업체가 보유한 쌍용차 만기어음을 대출로 전환하는 등의 대책 마련에 들어간 상태다. 은행권과 신용보증기금 등도 정부 지원책에 맞춰 긴급 운영자금 대출과 협력업체에 대한 특례보증 지원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영리 기자 miracl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