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쌍용차는 이날 오전 시청과 종각, 동대문, 천안역 등 전국 주요 역사 15개소에서 "불합리한 노사관계가 청산되지 않는 한 이같은 위기는 언제든지 되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외부세력과 연계된 이번 불법파업이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의로운 싸움처럼 포장되고 있는 사실에 분개한다"며 "노동자의 권익을 명분으로 내세운 폭력적 정치파업으로 20만명이 넘는 근로자의 생계가 파탄으로 내몰리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지난 2000년 이후 16회에 걸친 파업으로 누적 손실이 1조원에 달했지만 노조에 대한 어떤 민형사상 책임 추궁이 이뤄진 바 없다"며 "불합리한 노사관계가 청산되지 않고서는 언제든지 이같은 위기가 다시 반복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번을 계기로 기형적인 노사관계를 청산해 한국 노사문화의 새로운 롤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국민들이 지지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쌍용차 협력업체를 포함한 채권자 모임인 '쌍용차 협동회'는 지난 13일 노조를 상대로 100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이달 말까지 파업 철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채권단 자격으로 조기 파산을 요청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주경제=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