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공기관에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 사용이 의무화되고 공공기관 주차장에는 경차 및 하이브리드차 전용 주차장이 설치된다.
1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국무총리 지시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의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방안을 공공기관에 알리고, 연간 실적을 제출하도록 지시했다.
정부 관계자는 에너지 이용 합리화 방안 추진 배경에 대해 "공공기관이 에너지절약에 솔선수범하고 관련 예산 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었다"며 "이는 에너지 소비총량제 도입을 통한 녹색성장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적 제출 기관에는 재정부를 비롯해 행정안전부, 서울시, 경기도교육청 등 관리감독 75개 기관이며 각 부처 산하 모든 공기업도 포함된다.
정부는 에너지 효율 우수 공공기관으로 선정될 경우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되 실적 미흡시에는 성과급과 기관장 평가점수 등 경영평가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세부 방안에 따르면 모든 공공기관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또 모든 공공기관은 백열전구는 올해까지, 해당 기관의 조명기기 30%는 2012년까지 발광다이오드(LED) 제품으로 모두 교체해야 한다.
신축 건물의 엘리베이터는 의무적으로 '층 선택 최소 기능'을 갖춰야 하다.
이와 함께 앞으로 업무용 승용차를 구입할 때에는 경차와 하이브리드차의 구입률이 연간 50% 이상돼야 하고, 청사 주차장에 경차 및 하이브리드차 전용 주차 면적이 전체의 5% 이상이어야 한다.
이 밖에도 공공기관의 적정 냉난방 온도관리와 중식시간 사무기기 소등, 옥외광고물 심야 소등, 절수형 수도설비 설치, 승용차 요일제·통근버스·카풀제, 자전거 주차장 및 전용도로 설치 등이 방안에 담겼다.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jjong@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