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가 1600선을 넘어서면 대량 환매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현대증권에 따르면 국내에서 주식형 펀드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2년 6월 이후 1600선 이하에서 주식형 펀드로 순유입됐거나 지난해 9월 이후 새로 유입된 43조6045억원 중 지난해 9월 이후부터 지난 5일까지 환매자금은 36.3%인 15조8548억원에 달했다.
작년 9월 이후 해지된 금액은 많지만, 그만큼 신규 설정도 많아 5일까지 실제 주식형 펀드에서 순환매(순유출)된 금액은 2조6732억원에 그쳤다.
2002년 6월 이후 유입 구간별 환매 비중을 보면 코스피지수 900~1000 사이에 들어왔던 3929억원 중에는 23.5%인 7264억원이 환매(해지)됐고, 코스피지수 1000~1100 사이 들어왔던 1조3668억원 중 94.6%인 1조2929억원도 환매됐다.
1100~1200 사이 유입된 4조3602억원 중에는 71.5%인 3조1172억원이 이탈했고, 1200~1300 사이 들어온 6조6531억원 중 24.0%인 1조5943억원이 펀드를 떠났다.
1400~1500 사이에는 2조3455억원이 순유출된데다 3조9771억원이 환매돼 수익 실현 환매가 이뤄졌고, 1500~1600 사이 들어온 1조6916억원중에는 83.6%에 달하는 1조4137억원이 환매됐다.
이같이 구간별 환매율은 아직 지수대별로 들쭉날쭉하지만, 문제는 코스피지수가 1600선을 넘어설 경우다.
국내 주식형 펀드 유입 금액의 54%인 44조원이 코스피지수 1600선 이상에서 유입돼 환매 대기 중이라는 분석이다.
더구나 코스피지수 1600선 이상 유입금액 중 75%는 적립식펀드여서, 코스피지수 1550 기준 평균 12.75%의 수익이 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환매를 통한 차익실현 유혹은 더욱 강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