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침체에서 벗어나 회복되기 시작했다는 전망이 나왔다.
올리비어 블랑샤르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8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도 경제위기의 상처가 깊어 위기발생 전보다는 기업들의 잠재 생산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블랑샤르 이코노미스트는 "경기반전이 단순하지 않을 것"이라며 "위기가 깊은 상처를 남겼기 때문에 앞으로 수년간 공급과 수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미국 경제의 70%, 그리고 국제경제 수요에서도 큰 몫을 차지하는 미국의 가계소비가 위기 이전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인들이 부동산과 주식시장의 폭락으로 막대한 손실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블랑샤르 이코노미스트는 "아시아 신흥시장국가 중 특히 중국이 세계 경제수요를 진작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폭 감소는 수요를 진작시키고 미국의 경제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