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항만업계는 오는 5일 오후 인천시의 내항 재개발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기로 해 인천항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시민친화적 인천내항 활용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1·8부두 내항재개발에 대한 인천시의 개발 계획안은 항만업계 및 근로자, 시민단체들 사이에 의견 조율도 거치지 않는 등 시기나 방법에서 문제가 많다고 2일 밝혔다.
범대위는 이에 따라 변호인단을 구성하고 항만부지 소유 및 운영 주체와 협의 없는 인천시의 도시기본계획(안) 적정성 여부에 대한 국민감사 청구 및 국회 청원을 진행키로 했다.
특히 범대위는 시가 원안대로 인천내항 개발에 나설 경우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제출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인천내항 개발 논란 갈등이 법정공방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범대위는 오는 5일 오후 4시부터 5시30분까지 인천시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인천시의 일방적 개발정책 추진을 규탄키로 했다.
이날 집회에는 2000여명의 항만 근로자 등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져, 집회가 열리는 2시간여 동안 인천항 하역기능이 부분적으로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범대위 관계자는 "인천시의 일방적인 개발 추진에 맞서 항만 종사자 1만6000여명이 반대운동에 서명하는 등 인천항 개항 이후 처음으로 하역사와 항만노조가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이 같은 뜻을 대외적으로 알리기 위해 집회를 여는 것으로, 이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야간 보충작업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 8월 국토부가 1·8부두의 2015년 개발 등을 확정한 가운데 일방적으로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이전에 내항재개발을 마친다는 계획을 내놓아 항만업계의 반발을 사왔다.
아주경제= 한경일 기자 wow@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