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경상GDP)에서 통관기준 수출 및 수입액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90%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무역의존도 역시 작년보다 낮아지겠지만 여전히 80%대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12일 기획재정부가 배포한 `2008년 우리나라 무역의존도 상승원인 분석' 자료에 따르면 상품교역량(통관기준 수출액과 수입액의 합계)을 경상 국내총생산(GDP)로 나눈 무역의존도가 2007년 69.4%에서 지난해 92.3%로 무려 22.9%포인트나 높아졌다.
유가 급등에 따라 수입액이 증가하면서 상품교역량이 증가한 반면 환율이 올라가 달러로 환산한 경상 GDP는 마이너스를 기록한 게 원인이라고 재정부는 분석했다.
실제로 원·달러 환율이 2007년 달러당 929원에서 2008년 1103원으로 올라간 영향 등을 받아 경상GDP는 같은 기간 1조493억달러에서 9287억달러로 11.5% 감소했다.
반면 원유 도입단가가 배럴당 69.4달러에서 98.3달러로 상승한 여파 등에 따라 상품교역량 증가율은 2007년 14.7%에서 2008년 17.7%로 높아졌다.
이에따라 달러 기준 경상GDP 감소(14.5%포인트), 유가상승에 따른 교역량 증가(4.7%포인트), 순수출 감소(3.0%포인트), 기타 교역량 및 내수변동(0.7%포인트)이 무역의존도 심화로 연결됐다.
재정부는 올해 무역의존도 역시 83%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수출 부문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의 핵심규제 완화 등 내수시장 확충 노력이 긴요하다"며 "소비·투자 제약요인 개선, 교육·의료분야 진입규제 완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sh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