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전 사무직에 대해 1개월 무급휴직을 실시하고 보유자산 매각을 통해 1조3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키로 했다.
금호아시아나는 그룹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 5일 이 같은 내용의 강력한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해 시행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이를 위해 ▲임원수 20% 축소 및 임원 임금 20% 삭감 ▲전 사무직 1개월 무급휴직 실시 ▲보유자산 매각을 통한 1조3000억원 이상 유동성 확보 ▲운영경비절감, 복리후생 시행 유예 및 축소 등 전사적 경비절감 등의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 시행하기로 했다.
우선, 금호아시아나는 대폭적인 조직 및 인력 슬림화에 나섰다.
솔선수범 차원에서 그룹 컨트롤 타워인 그룹 전략경영본부 조직을 40%이상 축소하고 계열사별 조직 재정비를 통해 사장단 및 임원수를 대폭 줄이는 등의 인력 감축에 돌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임원수는 대우건설 120여명을 포함하여 총 370여명이었으나 대우건설, 금호생명, 금호렌터카 등의 매각에 따라 이미 230여명 정도로 축소됐다. 이번에 추가로 20%정도의 임원 감축을 통해 그룹 전체 임원수를 180여명 정도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금호아시아나는 임원 감축과 함께 전 임원 임금을 20% 삭감하기로 했고 생산현장에 필요한 인원을 제외한 그룹의 모든 사무직을 대상으로 1개월 무급휴직을 실시할 예정이다.
금호아시아나는 또 워크아웃에 들어가는 금호산업/금호타이어, 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은 금호석유화학/아시아나항공 등을 중심으로 보유자산 매각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계열사별로 금호산업은 매각 추진중인 베트남 금호아시아나플라자와 금호건설 홍콩유한공사 등의 자산을 매각해 약 4776억원, 금호석유화학은 제1열병합발전소 세일앤리스백(Sale&Lease back)과 자사주 매각 등을 통해 약 2653억원을 각각 확보키로 했다.
또 아시아나항공은 아시아나IDT와 금호종금 지분 매각 등을 통해 약 1838억원을, 금호타이어는 중국 및 베트남 소재 해외법인 지주회사인 금호타이어 홍콩 지분 49% 를 매각해 1500억원 등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추가로 가능한 자산매각을 통해 총 1조 3000억원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할 예정으로, 그룹은 채권단과 긴밀히 협의해서 이 같은 내용을 조속히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금호아시아나 관계자는 “운영경비절감, 복리후생 시행 유예 및 축소, 영업효율성 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 등의 전사적 경비절감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계열사별로 교육비, 출장비, 업무추진 경비 등 일상적인 운영경비를 대폭 줄이는 것을 비롯 경영정상화가 될때까지 기존 시행중인 복리후생 제도를 유예하거나 과감히 축소키로 했다.
아주경제= 박상권 기자 kwo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