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혁신과 통합위가 5일 시민공천배심원제를 도입하기로 의결했다.
시민공천배심원제는 정당 소속이 이 외의 전문가·시민단체 그룹 등에서 1000명 내외의 배심원단을 구성한 뒤 이 가운데 200명 이내의 배심원을 무작위로 뽑아 이들의 투표로 최종 공천자를 선정하는 제도다.
혁신위의 간사를 맡고 있는 최재성 의원은 이날 "민주당은 이로써 기회의 땅이 되었다"며 "기득권의 장벽을 허물고 정치 신인과 시민사회 등의 정치적 진출을 공정하게 보장하게 됐다"고 밝혔다.
배심원단 선거지역은 시도당의 요청이 있을 경우 중앙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할 방침이다. 또한 시도당의 요청이 별도로 없더라고 최고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배심원단 선거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실제 배심원단 선거지역은 일정 규모 이상이면서 공천경쟁이 이뤄지는 선거구 50∼60곳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배심원제는 지방기초·광역의회의원과 기초단체장 선거에 적용하기로 했다.
광역단체장선거는 사람들의 관심이 높은 만큼 국민경선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혁신위는 또한 선거연대와 여성·청년·장애인에 대한 배려차원에서 지방의원의 15% 를 전략공천하기로 했다.
최 의원은 " 전략공천제도 도입은 제1 야당으로서 여당에 맞서 야권이 단일한 대오로 선거를 치러야한다는 국민적 명령에 부응한 결단이다"고 밝혔다.
혁신위에서 의결된 배심원제는 시·도·당 위원장들과 지도부의 의견 수렴을 거쳐 이번달 안에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아주경제= 팽재용 기자 paengm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