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참사로 폐허가 된 아이티 소식이 연일 전파를 타고 있다. 여진이 잇따르고 있는 현지 상황은 그야말로 아비규환이다. 생존자들이 살아남기 위해 약탈과 폭력을 일삼고 있다는 보도도 잇따르고 있다.
전 세계에서 구호자금과 물품이 속속 답지하고 있다는 점은 그나마 다행이다. 각국 정부와 기업, 단체, 개인 할 것 없이 아이티에 따뜻한 손길을 내밀고 있다. 20일 집계에 따르면 참사 발생 일주일만에 아이티로 모인 지원금이 12억 달러에 달했다고 한다.
우리 정부도 아이티에 1000만 달러를 쾌척하기로 했다. 그러나 1000만 달러를 내놓기까지의 과정을 두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이명박 대통령이 신년연설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올해를 국격을 높이는 해로 삼겠다고 했던 것과는 너무 다른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결코 적지 않은 지원금을 내놓고도 정부가 비난을 사게 된 건 줏대 없이 움직였기 때문이다. 외교통상부는 지난 14일 아이티에 100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이 6억1600만 달러, 미국 1억 달러, 영국 1000만 달러, 일본 500만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뒤다.
이후 정부는 국격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을 의식해 지원금을 500만 달러로 올렸다 19일 다시 1000만 달러로 상향조정했다. 늑장대응에 눈치를 보다 체면만 구긴 셈이다.
한국은 지난해 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함으로써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도움을 주는 나라로 발돋움했다. 한국은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국으로 탈바꿈한 첫 사례다. 하지만 원조국 한국의 데뷔무대는 너무 서툴렀다.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