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펀드 수익률 동반 상승…글로벌악재 완화

국내주식펀드 수익률이 글로벌 악재 완화로 4주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해외주식펀드도 하락 한주만에 다시 상승했다.

2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9일 기준 설정액 10억원 이상 일반주식펀드(471개)의 한주간 수익률은 1.39%를 기록했다. 유럽 재정위기와 중국 긴축우려, 미국 금융규제 등 글로벌 악재 완화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4주만에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중소형주펀드(17개)는 1.63% 수익을 냈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114개)는 1.54%, 배당주식펀드(33개)는 1.39% 올랐다.

코스닥시장과 소형주가 상대적으로 선방해 중소형 가치주 펀드 수익률이 두드러졌다. 전기전자(IT)업종에 투자하는 테마 펀드와 반도체 관련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들도 성과가 좋았다.

펀드별로는 'NH-CA대한민국베스트30 [주식]Class C'가 2.90%로 주간성과 1위에 올랐다. 이 상품은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을 가리지 않고 주가 상승이 예상되는 20~3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해 좋은 성과를 냈다. 이어 '미래에셋맵스TIGER SEMICON ETF', '삼성코덱스 ETF'도 각각 2.68%와 2.58%로 그 뒤를 이었다. 'KB밸류포커스자(주식) 클래스A'도 2.65%로 선방했다.

반면 소형주 강세에도 불구하고 '유리스몰뷰티플러스 [주식]'과 '유리스몰뷰티 [주식]C/C'는 각각 0.82%, 0.85%로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해외펀드는 1.72% 수익률을 기록하며 한주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달러화 약세로 국제유가와 금속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기초소재섹터펀드(22개)가 5.31%로 수익률이 가장 높았고 남미신흥국펀드(29개)도 4.39%로 강세를 보였다.

러시아펀드(20개)는 에너지관련주 강세로 3.73% 올랐고 브라질펀드(21개)도 국제상품가격 상승에 힘입어 3.60% 수익을 냈다. 중국펀드(124개)와 인도펀드(25개)는 각각 0.67%와 1.40%로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상품별로는 '블랙록월드광업주 자(주식)(H)(A)'가 5.66%로 수익률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KB유로컨버전스 자(주식)A'가 5.41%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춘절 연휴로 거래가 적었던 탓에 중국펀드들이 하위권으로 밀려났다. '삼성KODEX China H 상장지수[주식]'와 '한국투자차이나베트남 1(주식)(A)'가 각각 -0.38%와 -0.16%를 기록하는 등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채권펀드는 채권시장이 통화정책 불확실성 해소에 따라 강세를 보이자 양호한 수익을 냈다.

일반채권펀드(41개)는 0.17% 수익을 냈다. 중기채권펀드(26개)  0.23%, 우량채권펀드(13개) 0.17%, 초단기채권펀드(4개) 0.08%, 하이일드채권펀드(11개) 0.17%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반주식혼합펀드(67개)와 일반채권혼합펀드(216개)는 각각 0.85%와 0.51%로 집계됐다.

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