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2년까지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연구개발(R&D) 분야에 3000억원을 투자한다.
지식경제부는 3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제7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범부처 차원의 '서비스 R&D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선진국으로 진입을 위해 서비스 산업 육성이 시급함에도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과 투자규모, 개념정립 등에서 선진국에 비해 취약해서 마련됐다.
국내 서비스 산업의 비중은 OECD 평균보다 10% 이상 낮고, 생산성은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를 위해 지경부는 서비스 R&D에 대한 개념부터 정립했다.
기존 기술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인문·사회과학 연구를 포괄하고 서비스와 제조업 등 산업간 융합 서비스도 개발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애플이 아이팟이라는 상품을 내놓은 다음 아이튠스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구글이 단순 검색서비스 제공에서 나아가 이와 연동한 안드로이드폰을 제조하는 것은 모두 서비스 R&D의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다.
2012년까지 지원되는 3000억원의 예산은 우선 기초·원천분야 R&D에 50%를 투자한다. 응용 분야 중에서는 교육과 헬스케어, 금융 등 신성장동력 고부가서비스 산업과디자인과 광고 등 사업서비스업을 집중해 지원한다. 재난대비 등 공공서비스 분야R&D도 투자한다.
특히 서비스 R&D 지원체계를 개편, 관광과 콘텐츠, 교육, 의료, 공공서비스 등 분야별 신서비스 개발 과제를 신설한다.
아울러 새로운 서비스를 실험하기 위한 가상 플랫폼을 구축해 가상고객의 반응을 점검하고 연구개발비용 세액공제 대상을 과학기술 분야에서 서비스산업 분야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제품에 대한 R&D 투자는 당연시하면서도 서비스 R&D의 필요성에는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국내 상황"이라며 "이번 기회를 통해 서비스 R&D 개념을정립하고, 중장기적 투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usese@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