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와 국방부가 힘을모아 차세대 국방섬유 개발에 나선다.
최경환 지경부 장관과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5일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국방섬유 기술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경부에 따르면 양해각서의 주 내용은 지경부가 국방섬유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국방부가 신기술사용 섬유를 우선 구매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는 지식경제부가 '국방섬유개선 로드맵 수립'과 이에 따른 기술개발, 장병 신체치수 표준화와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디자인 개발 등을 지원한다.
국방부는 국산 원자재가 사용된 피복·장구류의 우선구매를 제도화해 안정적인 내수기반 조성 및 수출을 지원한다. 신기술 개발제품에 대한 시험·평가와 함께 우선구매를 통해 기술개발에 따른 위험 최소화도 기여한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 장병들이 착용하는 피복·장구류에도 첨단기술이 활용되면 전투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식경제부와 협력·개발해 장병들에게 착용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최경환 지경부 장관은 "우리 군의 현대화에 필요한 모든 민간 첨단기술이 국방분야에도 즉시 적용토록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기술개발 주무부처와 대량 수요부처간의 협력의 신호탄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해 군전투력 향상과 관련산업의 발전을 동시에 추구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노희찬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은 "이번 국방부와 지식경제부간 MOU 체결은 섬유업계에 안정적인 수요기반을 조성해 주어 섬유산업 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라며 "섬유업계에서도 기술혁신과 품질관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피복·장구류가 군에 납품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개발하는 차세대 국방섬유는 △스텔스섬유(위장) △숨쉬는섬유/투습방수(방한복, 전투화) △보호(작업복 등) △내열(방화복) △초경량(배낭, 텐트) △항균방취(내의류, 침구류) △스마트 의류(정보통신복) △i-Fashion(IT융합 맞춤형 군피복/장구류) 등이다.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uses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