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규혁 기자) 임신부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바로 먹거리다.
임신기간 동안 태아는 오직 탯줄로만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임신부는 다양한 식품을 고루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부는 생선,살코기,콩제품,달걀 등 단백질 식품을 매일 1회 이상 섭취하고 우유,요구르트,치즈와 같은 유제품을 통해 칼슘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채소와 과일을 다양한 종류로 먹어주는 것도 태아의 성장과 건강에 도움이 된다.
특히 철분과 엽산은 임산부가 더욱 신경을 써야 할 영양소이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살펴보면 임산부는 일반 여성보다 엽산 200㎍,철분 100㎍를 더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임신 초기 산모의 엽산결핍은 선천성 기형아 출산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녹색잎 채소 등 엽산이 풍부한 식품을 부족하지 않게 섭취해야 한다.
우리나라 여성은 철분 결핍성 빈혈의 빈도가 높고 임신 기간 동안 빈혈의 위험성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붉은색 육류와 녹색잎 채소,잡곡밥, 견과류,철분 강화 씨리얼 등으로 철분을 충분히 보충해 주어야 하고 비타민C와 함께 섭취한다면 흡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반면 과다섭취 시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 있는 비타민 A(retino 형태)는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
특히 무심코 먹는 종합비타민제에도 비타민 A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수은 함량이 높은 황새치와 청새치, 상어,참치 등은 주1회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좋고 계란 노른자와 어패류 등은 반드시 익혀서 섭취해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을 막아야 한다.
저온살균하지 않은 치즈나 날고기, 설익은 고기도 가급적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적절한 체중 증가를 위해 알맞게 먹고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을 하는 생활도 요구된다.
흔히 임신기간에는 많은 열량이 필요하다 생각해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움직이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국 산부인과학회에 따르면 임신전과 비교한 임신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은 11.5~16kg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나 알맞은 음식 섭취와 적당한 운동도 중요하다.
한편 식약청은 식약청 웹사이트(http://nutrition.kfda.go.kr "건강한 식생활")와 언론보도 등의 정보를 통해 임신부와 영·유아,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유용한 식생활 정보 제공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mjk@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