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미분양 토지ㆍ주택 규모 23조7000원..총부채의 20% 차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7-29 15: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토지ㆍ주택 미분양 규모가 총 23조7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H 총부채(118조원)의 약 20%에 해당하는 규모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사업 재조정과 더불어 미매각 부동산 처리도 시급한 상황이다.

29일 LH에 따르면 7월 현재 LH의 토지, 아파트 등 미매각 부동산 규모는 총 23조68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공공택지 등 미매각 토지 규모가 총 20조6000억원으로 전체의 87%에 이른다.

LH의 미매각 토지는 지난해 10월 초 통합공사 출범 초기 약 17조원 규모였으나 10개월 만에 3조6000억원 가량 늘어났다.

아파트가 지어질 공동주택용지 미분양분이 11조1000억여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상업용지 미분양분도 4조원 어치에 달했다.

LH가 통합 이후 보금자리주택지구 외에 신규 택지개발 사업을 거의 중단했음에도 미분양 토지가 많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건설사의 계약 해지 요청이 많았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경우 광명역세권, 양주 옥정신도시, 영종 하늘도시, 김포 한강신도시, 화성 동탄2지구 등 신도시와 택지지구를 중심으로 미매각 토지가 몰려 있다.

아파트 미분양은 1만2000여가구, 총 3조800억여원 규모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마포에 주상복합 250여가구의 미분양이 남아 있고, 경기도 오산 세교(900여가구), 안산 신길(190여가구), 인천 서창(1200여가구) 등에서 미분양이 발생했다.

지방은 대전 석촌2지구(790여가구), 대전 목동(550여가구), 대구 율하선수촌(1천여가구), 대구 칠성(820여가구), 원주 무실3지구(370여가구) 등에 미분양이 있다.

미분양이 늘면서 LH는 지역본부별로 판매촉진지원단을 설치하고 직원 한 명이 토지 1필지나 주택 1가구 이상을 판매하는 '1인 1매각' 캠페인을 시행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할인 분양'도 등장했다. 지난해 11월 서울 마포에서 분양한 펜트라우스 84㎡는  최고 6500만원, 115㎡는 9100만원을 내려 재분양 중이다. 또 지역별로 5년 무이자 대출이나 층ㆍ향별 분양가 차등 적용 방식 등을 도입해 사실상 분양가를 낮췄다. 준공 후 아파트는 분양 아파트를 전세로 전환하는 추세다.

LH는 미분양 판매를 위해 다음달로 예정된 정기인사에서 지방 미분양 판매인력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