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두드러지고 있는 선진국 국채 투자 바람이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10년 만기 美 국채 수익률 추이(출처:포춘) |
최근 세계 경제 회복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조짐이 곳곳에서 포착되자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선진국 국채를 대거 매입하고 있다.
그 결과 미국과 영국, 독일의 국채 수익률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2.45%로 최근 한달 새 55베이시스포인트(bpㆍ1bp는 0.01%포인트) 급락했다.
투자자들이 국채시장으로 몰린 것은 취약한 경제여건 탓이기도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3년 동안 투자수익이 나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마레는 그러나 이같은 국채시장의 매력이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제는 국채 발행국의 약속 이행 여부가 아니라 어떤 약속을 지키지 않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미국이나 영국은 돈을 찍어내 얼마든지 공공부채를 갚을 수 있고 일정한 수익을 되돌려 줄 수도 있지만 인플레이션 등이 발생하면 투자자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그는 "선진국이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지금처럼 낮은 수준의 국채 수익률과 물가 상승률은 금융시장이 침체됐을 때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인플레이션을 경계했다.
지난 5년간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목표치인 2% 선에서 통제돼 왔다. 하지만 시중에 풀린 경기부양 자금과 중국·인도 등 신흥국의 물가 상승 움직임이 인플레 압력을 높이고 있다. 특히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0분의 1을 차지하는 상품 가격이 상승하면 물가도 오를 수밖에 없다.
반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미 뉴욕대 교수는 선진국의 국채 수익률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은 수요가 부족하다는 증거이자 이중침체(더블딥) 및 부채 디플레이션의 전조라며 일본식 장기불황 가능성을 경고했다.
타일러 코웬 미 조지메이슨대 교수는 미국 내 국채 수요가 미미한 상황에서 미국의 최대 채권국인 중국의 수요가 줄 경우 수익률이 치솟아 국채시장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nvces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