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올해 민간분양의 청약마감 사업장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반토막'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지역의 청약마감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다. 반면 지방의 경우는 오히려 개선되면서 대조를 이뤘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가 올해 분양된 민간주택 청약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8월까지 공급된 총 116곳의 사업장 중 22곳이 순위 내에서 마감돼 18.96%의 사업장이 청약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수도권은 총 67곳의 사업장 중 16곳이 마감(23.88%)됐고, 지방은 총 49곳의 사업장 중 6곳이 순위 내 마감(12.24%)됐다.
지난해는 공급됐던 206곳의 사업장 중 85곳이 순위 내에서 마감되면서 마감사업장 비율이 41.26%였다.
올해 청약률이 낮아진 것은 지방(2009년 6.75%→2010년 12.24%)이 다소 살아났음에도 수도권지역(2009년 60.6%→2010년 23.88%) 청약이 크게 저조해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수도권 지역이 저조한 청약마감 수준을 나타내는 것은 지방보다 금융규제가 강하고 정부정책의 민감도가 높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청약불패를 자랑하던 서울 강남지역은 물론 경기 광교신도시와 인천 송도국제도시 등에서까지 청약미달 사업장이 나오면서 호재가 있는 수도권 대표지역도 청약마감을 장담하기 어려운 분위기다.
윤지해 연구원은 "9월부터는 정부의 8‧29대책으로 금융규제완화 등 정책효과가 가시화되고, 분양시장도 본격적인 성수기에 진입하는 만큼 내 집 마련을 계획 중이라면 하반기 청약시장의 분위기를 지켜보고 진입 시기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