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기업들이 앨라배마와 사우스캐롤라이나 등 미국 남동부 지역에 현지공장을 설립하며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남동부 지역은 특히 현대 자동차 앨라배마공장(HMMA)과 기아자동차 조지아공장(KMMA) 진출을 계기로 한국 기업들의 진출이 잇따르고 있어 북미시장 공략을 위한 새로운 전초기지로 부상하고 있다.
포스코는 작년말부터 앨라배마주 버밍햄시에 건설해온 자동차 강판 가공센터 공사를 완료하고 14일 완공식과 함께 본격적인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버밍햄시 제퍼슨 카운티에 건립된 이 강판 가공센터는 포스코의 미국 현지법인인 포스코 아메리카가 1천700만달러(약 200억원)를 들여 건립한 것으로 포스코가 미국에 세운 첫 철강제품 가공센터.
포스코는 이 가공센터에서 인근 HMMA와 KMMA 등 현대 기아차의 양대 미주공장과 혼다, 폴크스바겐, BMW 등 남동부 지역에 진출해 있는 외국 자동차업체에 필요한 자동차 강판제품을 멕시코 포스코 공장에서 공급받아 가공해 공급할 방침이다.
현대중공업도 지난 7월부터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에 변압기 생산공장을 건설키로 결정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현대중공업은 몽고메리 공장 건설에 모두 9천만달러를 투자해 최대 500㎸급 변압기를 매년 200대 이상 생산한다는 방침에 따라 빠르면 9월중에 기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단거리용 전기차 생산업체인 CT&T도 지난 7월부터 준비해온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던컨 공장을 9월중에 완공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방침이다.
CT&T는 2천100만달러를 투입해 10만 평방피트 규모로 건설한 던컨공장에서 최고 시속 40마일(64㎞), 콘센트를 이용해 4-5시간 충전하면 80마일(128㎞)까지 달릴 수 있는 전기차를 연간 3만대 정도 생산할 계획이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