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올해 2분기 엥겔계수가 약 9년 만에 가장 높게 나왔다.
8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우리나라 가계의 엥겔계수(계절조정)는 13.3%로 나타났다.
2분기 가계이 최종 소비지출액 145조9천억원 가운데 13.3%인 19조4천억원이 식·음료품을 사는데 쓰였다는 뜻이다. 2분기 엥겔계수는 2001년 3분기의 13.8% 이후 8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 지수를 개발한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Engel)의 이름에서 따온 엥겔계수는 가계 소득이 적을수록 수치가 높게 나온다.
집에서 먹고 마시려고 지출하는 돈의 비중이 커질수록 다른 분야의 소비 여력이 줄어 경제의 전체적인 복리후생에 좋지 않게 작용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1970~1980년대 20~30%대에 이르던 우리나라의 엥겔지수는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2000년대 12%대로 하락했지만 금융위기를 겪고 난 지난해부터 13%대로 올라섰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