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한국은행이 중국 내수시장의 확대에 따라 주요 선진국 경제의 침체에도 아시아 신흥국들은 성장을 지속하는 '탈동조화'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8일 한은이 발표한 '중국 제조업의 환경 변화와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의 가공무역이 축소되고 내수시장이 확대되면서 아시아 지역 국가와 유럽·미주 선진국 경기의 동조화 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기 동조화(coupling)란 한 국가의 경기가 다른 국가 경기 변동의 영향을 받아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경제 의존도가 높을수록 동조화가 강하게 나타나며 탈동조화는 이와 반대되는 현상이다.
아시아 신흥시장국과 주요 선진국의 탈동조화 현상은 금융위기 이후 뚜렷해졌다. 지난해 미국과 유로지역 경제는 -2.6%와 -4.1% 성장했지만, 중국과 인도는 9.1%와 7.4%씩 성장했다.
한은은 특히 중국 경제가 분업화·전문화·개방화에 힘입은 '효율 주도형' 성장에서 이제는 인적·물적 자본의 개선과 기술 발전 등을 통해 얻는 '혁신 주도형' 성장으로 전환함에 따라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질적인 선진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중국은 앞으로 생산 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저축률이 하락하면서 노동과 자본을 투입해 경제의 외연을 키우는 것은 점차 어려워질 것"이라며 "그 대신 이공계 대학 졸업자와 유학생 귀국이 늘고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선진국 수준에 육박해 생산성을 높이는 내적 성장에 주로 기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세계은행은 최근 중국 경제의 잠재 성장률과 관련해 노동과 자본 투입의 성장 기여율은 2010∼2015년 66%에서 2016∼2020년 59%로 감소하겠지만 요소 생산성의 성장 기여율은 같은 기간 33%에서 41%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국과 선진국의 탈동조화 현상은 우리나라의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최근 미국의 경기 둔화로 불확실성이 커져도 우리나라 경기는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탈동조화 현상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dk@ajnews.co.kr[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