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부여 송국리 유적 조명 학술대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9-30 09: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한국전통문화학교와 한국상고사학회는 오는 1일 오전 10시 충남 부여군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수원 강당에서 '부여 송국리 유적으로 본 한국청동기시대 사회'를 주제로 한 학술대회를 연다.

부여군이 후원하고 재단법인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가 주관하는 이날 학술대회는 한반도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유형 중 하나로 '송국리형 문화'라는 명칭을 낳은 송국리 유적에 대한 재조명을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는 '부여 송국리 유적의 새로운 편년(編年)'을 주제로 한 서울대 최몽룡 교수가 기조강연을 하고 전통문화학교 김경택 교수가 최근 송국리 유적에 대한 제12ㆍ13차 발굴성과를 소개한다.

이어 ▲송국리 취락의 시기와 성격(손준호. 한국고고환경연구소) ▲금강 중ㆍ하류 송국리형 무덤의 상징구조에 대한 맥락적 고찰(우정연.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송국리문화의 안과 밖(이수홍. 울산문화재연구원) ▲요시노가리 유적의 현황과 송국리유적의 미래(시치다 다다아키<七田忠昭>. 일본 사가현교육청) ▲송국리 54지구 고상(高床)주거 접합부 형식 추론(황종국. 한국전통문화학교)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진다.

송국리 유적은 1975년 이후 2009년까지 총 1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청동시대 중요 유적으로 밝혀져 사적 249호로 지정됐다. 현재까지 80여기에 이르는 주거지를 비롯해 무덤(옹관묘ㆍ석관묘ㆍ토광묘), 수혈유구(竪穴遺構.구덩이), 구상유구(溝狀遺構.도랑), 고상건물, 울타리 시설 등이 확인됐다.

이 발굴조사 이후 발견 장소와 없이 타원형 구덩이를 갖춘 집자리에 아가리가 바깥으로 벌어진 토기 등을 갖춘 청동시대 문화유형을 '송국리형 문화'라고 부른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