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감) “소득 양극화, 건강 양극화로 이어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0-12 09: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원희목 “저소득층일수록 과체중·비만율↑… 영양섭취는 부실”

(아주경제 장용석 기자) 소득 양극화 현상이 건강 양극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소득이 낮을수록 과체중과 비만 비율은 높은 반면, 영양섭취는 부실하다는 분석결과가 나온 것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원희목 한나라당 의원이 12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소득수준별 과체중·비만율 분포'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8년 기준으로 소득수준 '상'의 과체중·비만율은 29.7%인 반면, 소득수준 '중상'은 30.5%, '중하' 31.7%, '하' 32.8% 등으로 저소득층일수록 과체중·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10년 전인 1998년엔 소득수준 '상'의 과체중·비만율이 26.6%로 '하'의 24.7%보다 높았다.
이에 대해 원 의원은 "지난 10년간 소득이 높을수록 과체중·비만관리를 잘 했고, 저소득층은 그렇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2008년 기준으로 5세 이하 학령 전 아동의 소득수준별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 '최상'의 경우 권장섭취량 대비 96.4%의 열량(칼로리)를 섭취한 반면, 소득수증 '하'에선 85.5%에 불과했다.

칼슘과 철의 경우도 소득수준 '최상'의 5세 이하 아동은 권장섭취량 대비 각각 97.7%와 81.9%를 섭취한 반면, '하'는 77.9%와 60.1%만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 의원은 "열량 섭취가 낮으면 신체 활동성을 떨어뜨리고 전반적인 운동부족 등을 가져와 신체발육을 저해한다"면서 특히 "칼슘과 철의 부족한 섭취는 장기적으로 '키 작은' 성인이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도 저소득층의 영양소 섭취가 고소득층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 의원은 “저소득층의 경우 ‘먹고 살기 바빠’ 건강관리에 소홀히 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평상시 건강관리 소홀은 질병으로 이어지고 결국 건강보험 재정의 손실로 연결되는 만큼 정부는 예방적 차원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일상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ys4174@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