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광효·이미호 기자) 정부가 14일 발표한 ‘청년 내 일 만들기 제1차 프로젝트(이하 제1차 프로젝트)’는 한 마디로 청년 일자리 창출에 공공부문의 역할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앞으로 증원되는 공공기관 인력은 반드시 신규채용을 통해 충원되고, 신규채용실적을 경영평가에 반영해 실효성을 높이기로 했다.
청년층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심하다고 보고 대학교육을 산업수요에 맞는 현장형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대학구조조정 작업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또 고교 졸업만으로도 괜찮은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직업교육-진로지도-현장훈련' 연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2011년까지 공공기관 6300여명 증원
정부는 오는 2011년까지 시장변화를 이끄는 공공기관 인력을 6300여명 증원할 계획이다.
먼저 해외 원전수출, 자원개발 등 에너지 분야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관련 공공기관 인력을 2011년까지 1700명 늘릴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원자력 분야에서 800명, 해외자원개발 분야에서 200명, 기타 에너지 분야에서 700명이 증원된다.
출연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은 2011년까지 1200명, 대국민 의료서비스를 확충하기 위해 국립대 병원 의료진도 2011년까지 1200명 늘어난다.
이 외에 부가가치 창출에 필수적인 공공기관 인력이 2011년까지 2100명 늘어난다.
정부는 12월 중으로 공공기관 증원 규모를 확정하고 2011년 1월에서 3월 사이에 채용 공고 및 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대국민 공공서비스 인력도 대폭 늘어난다.
정부는 화재ㆍ자연재해 관리와 구조ㆍ구급활동, 치안 등 공공서비스 인력이 수요에 비해 부족하다고 보고 2011년까지 소방ㆍ치안인력을 1150명 늘릴 계획이다.
급증하는 특허 출원 등의 심사인력이 부족해 발명의 권리화 및 사업화가 지연되고 있다고 보고 오는 2012년까지 특허ㆍ상표출원 심사인력을 200명 늘릴 계획이다.
이 외에 2011년까지 재해방지ㆍ질병방역 모니터링 요원 1000명이 신규로 채용되고 지역사회서비스, 예술분야 초ㆍ중ㆍ고등학교 전문강사, 스포츠 분야 초등학교 전문 강사, 영어회화 초ㆍ중등학교 전문강사 같은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 인력도 4800명 늘어난다.
◆2020년 원전 전문인력 4500명까지 늘어난다
오는 2020년 원자력 분야 전문인력이 약 4500명까지 늘어난다. 현재 전문인력 규모의 2배에 달하는 수치다.
구체적으로는 즉시 활용 가능한 단기 현장전문인력 수요에 대응해 원전 인턴십 실시, 원전 특성화대학교 육성, 원전 마이스터고 운영, 폴리텍학과 개편, 퇴진인력 활용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ㆍ장기 고급전문인력 양성 차원에서는 세계 수준의 원자력 연구 중심 대학을 육성하고 원전 수출 지원 인력을 보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력수급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대학내 원자력학과 추가 신설을 유도한다. 또 원전 공기업 인력을 우선 채용하고 나중에 정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원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직업훈련 협력을 활성화하고 수출유망 대상국의 해외인력 교육을 통해 한국형 원전의 해외 진출 촉진도 도모키로 했다.
지식경제부 원자력산업과 관계자는 "정부는 국내 원전 비중 확대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수주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차질없이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eekhy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