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편집국 ) 중국이 목표로 하고 있는 비교적 잘사는 수준을 뜻하는 샤오캉(小康)사회의 실현여부는 중산층 형성에 달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사회과학원 사회정책연구중심 탕쥔(唐鈞) 비서장은 25일 발간된 시사주간지 랴오왕(瞭望)의 최신호에 기고한 글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탕쥔은 사회과학원 루쉐이(陸學藝) 교수의 연구를 인용, 현재 중국의 중산층은 전체 인구의 23%로 5년전에 비해 5%포인트 늘었으나 내년부터 시작되는 제12차 5개년 계획(規劃)(2011~2015년. 약칭 12.5계획) 기간 30%정도가 되야 12.5 계획이 성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이 정책적인 수단등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중산층 비율을 40%선으로 끌어 올리면 비로소 샤오캉 사회를 이룩하려는 중국의 꿈이 실현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탕쥔 비서장은 중국 중산층의 자격 요건으로 ▲주택과 승용차, 그리고 일정한 금융자산 보유 ▲ 안정된 직업 ▲ 자아인식과 시민사회 의식 등을 들었다.
그는 중국의 현실에서 치솟는 주택가격때문에 서민들의 자택 소유 꿈이 점점 멀어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당국은 서민들이 내집 마련을 위해 세제혜택 등 정책적 배려를 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개혁.개방의 총설계사 덩샤오핑(登小平)이 30년전 개혁.개방에 나설때 '먼저 부자가 되라(先富論)'을 외쳤다면 이젠 중국인의 3분의 1을 향해 먼저 중산층이 되라고 주문할때라고 역설했다
한편 중국은 내수증가와 민생안정을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12.5 계획 기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5천달러이상으로 끌어 올리고 GDP를 세계 2위의 안정적인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