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유럽·미국·일본 등 전통적인 경제 강국에서는 명품 소비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거대한 명품 소비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통계에 따르면 2009년 중국 명품 소비액은 1년 전의 30억 달러에 비해 70% 증가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맥킨지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중국 귀금속 시장이 전년보다 25%, 고급차 시장은 50% 성장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전 세계 다국적 기업들은 이제 중국인의 지갑을 열기 위해 혈안이다. 벤츠, BMW 등 전 세계 유명 자동차 업체는 중국 한정판 모델을 출시하는가 하면 구찌·루이비통 등 명품 업체들은 아시아 최대 플래그십 매장(표준모델을 제시하는 대형 전문매장)을 중국에 오픈했다.
중국 관광객은 해외시장 최대의 소비 군단으로 떠올랐다. 중국 상무부는 2009년 중국 관광객 1인당 평균 7200달러(한화 약 800만원)를 소비했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전 세계 기업들은 이제 '큰 손'으로 부상한 중국 부유층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중국 부자들을 대상으로 전문화된 차별화 마케팅 펼치기 위함이다.
중국 후룬(胡潤)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자산 1000만 위안(한화 약 17억원)을 보유한 갑부는 87만5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6.1% 늘었다. 또한 자산 10억 위안의 중국인 부자는 1900명, '100억 위안 클럽'에 들어간 부자도 140명에 달했다.
중국 갑부는 통상 두그룹으로 나뉜다. 공산당 간부 자손 위주의 '홍색 귀족'과 왕촨푸(王傳福) 비야디자동차 회장처럼 개혁개방 이후 맨손으로 부를 일군 신흥 부자가 그들이다. 중국 증시와 부동산 시장 광풍 속에서 막대한 부를 거머쥐거나 IT 열풍을 타고 창업에 성공한 사업가도 여기에 속한다.
후룬조사에 따르면 중국 부자들은 연간 평균 170만 위안(한화 약 3억원)을 소비하며, 요트와 자가용 비행기를 가장 갖고 싶은 물건으로 꼽고 있다.
세계는 지금 중국의 '부자 탄생 신화'에 주목하고 있다. 이런 시기에 중국 신흥 부자들의 출현과 실태를 조명하고,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지향점은 무엇이며 또 앞으로 그들이 어떤 변화의 과정을 거쳐나갈지 짚어보는 것도 흥미 있는 일일 것이다.
격주 화요일 마다 '중국의 부자둘' 시리즈를 연재해 중국 부호와 재벌 기업인들의 이모저모를 조명해 나갈 것이다. 특히 중국이라는 시장에 성공의 승부수를 던지려는 투자자와 기업인들에게 시리즈 '중국의 부자들'은 매우 유익한 정보 자료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강소영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