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45% "게임접속 규제, 중독예방 효과"

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을 막기 위해 심야시간에 인터넷 게임 접속을 강제로 차단하는 '셧다운제'에 대해 청소년들 스스로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지난 7월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에 의뢰해 벌인 '청소년의 미디어이용행태 및 중독 등에 대한 학부모, 교사, 청소년의 인식도' 조사 결과 청소년 370명 중 45.3%가 '심야시간 온라인게임 셧다운제'가 게임 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고 23일 밝혔다.

예방 효과가 '보통이다' '효과가 없을 것이다'는 응답은 각각 30.0%, 24.7%였다.

또 청소년 미디어 중독 대응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가장 중요한 정책을 고르라는 질문에도 조사 대상 청소년들의 21.3%가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접속시간을 줄이는 규정 제정'을 꼽았다.

이런 응답은 '학교수업 시간에 미디어 중독 예방관련 수업을 정기적으로 실시'(18.0%)하거나 '미디어 중독 예방 전문 선생님을 학교에 배치'(15.7%)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더 많았다.

이처럼 청소년들이 게임 이용 시간 규제 제도에 대해 공감하는 것은 스스로 게임 중독을 끊기 어렵다는 점을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터넷 게임 이용습관에 대한 조사에서 청소년들의 43.9%가 '스스로 통제가 어렵다(시작하면 좀처럼 접속을 끊기 어렵다)'고 답했으며 2.7%가 '게임을 하지 않으면 우울하거나 짜증이 난다'고 답했다.

가장 심각한 청소년 미디어중독 행태를 고르라는 질문에도 청소년들의 67.0%가 인터넷게임을 1순위로 꼽았다. 인터넷음란물(13.3%)과 휴대전화 문자메세지(6.7%)를 꼽은 응답은 상대적으로 크게 적었다.

또 게임업계의 '자율규제'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청소년들의 14.7%만이 찬성했으며 54.0%가 '반반이다'라는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매우 찬성한다'는 11.0%, 반대한다는 응답은 8.0%였다.

교사(320명)와 학부모(316명)들은 '심야시간 온라인게임 셧다운제' 도입의 정책 효과에 대해 각각 72.3%, 61.8%가 효과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게임업계의 자율규제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교사의 63.0%, 학부모의 67.0%가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